5대 은행 가계대출 7개월 연속 ↓…정기예금은 700조원대로 ‘껑충’

5대 은행 가계대출 7개월 연속 ↓…정기예금은 700조원대로 ‘껑충’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8-01 17:56
수정 2022-08-01 17: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자부담에 대출 2조 줄어 697조
빚투족 “주식 팔고 대출 갚자”
정기예금 27조 늘어 712조 돌파

대출 창구의 모습
대출 창구의 모습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에서 상담을 받는 시민들의 모습.
서울신문DB
무거워지는 이자 부담에 가계 빚을 갚으려는 움직임이 이어지면서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7개월 연속으로 줄었다. 반면 금리 인상의 혜택을 볼 수 있는 정기예금 잔액은 한 달 새 27조원이나 늘면서 700조원을 넘어 전체 가계대출 규모보다 덩치가 커졌다.

1일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697조 436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699조 6521억원) 700조원대가 깨진 데 이어 한 달 사이 2조 2155억원이 더 쪼그라들었다. 감소폭도 한 달 전보다 더 커졌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월부터 7개월 연속 줄고 있다. 부진한 증시에 ‘빚투’ 열풍이 사그라든 데다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계속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신용대출(128조 8256억원)은 6월보다 1조 8533억원 줄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주택담보대출(506조 6804억원)은 같은 기간 910억원 줄었다. 은행 관계자는 “빚내서 투자한 고객은 손해를 보더라도 주식을 처분하고 대출을 먼저 갚으려 한다”며 “당장 처분하기 어려운 주택 관련 대출보다는 신용대출이 경제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총수신 잔액은 한 달 사이 12조 6760억원 불어난 1834조 2920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일정 기간 돈을 묶어 두는 정기예금 잔액은 712조 4491억원으로 6월보다 27조 3532억원 늘었다. 증가폭만 보면 지난달(5조 3192억원)의 다섯 배가 넘는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밟으면서 은행들이 일제히 정기예금 등 수신상품의 금리를 인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적용되는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아 저원가성 예금으로 분류되는 요구불예금 잔액은 673조 3602억원으로 한 달 사이 36조 6034억원이 빠졌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요구불예금에서 대기하던 자금이 수신금리가 오르자 정기예금으로 옮겨간 것”이라며 “추가 금리 인상이 예견되는 만큼 만기가 짧은 정기예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