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압구정동의 대단위 아파트 단지.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14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2월 둘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은 0.14% 상승해 전주(0.1%)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이는 2015년 12월 셋째 주(0.14%)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지역별로는 강남구(0.43%)와 양천구(0.38%)의 오름폭이 컸다. 경기도의 경우 전세 상승률이 0.13%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하지만 학군 지역으로 분류되는 과천(0.61%)과 용인 수지(0.61%), 평촌 학원가로 유명한 안양 동안(0.46%) 등은 상승폭이 눈에 띄게 높았다.
학군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는 것은 대학 입학제도 변경과 자율형사립고 등의 일반고 전환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달 교육부가 자사고·외국어고·국제고를 2025년 일괄적으로 일반고로 전환시키고, 현재 중3이 치르는 2023학년도 대입부터 서울 16개 주요 대학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위주 정시 전형 비율을 4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의 교육제도 개편안을 발표한 이후 11월 둘째주(11월 11일 기준) 0.16%이었던 양천의 전세가격 상승률은 11월 셋째주 0.27%로 한주만에 0.1%포인트가 증가한 뒤 상승세가 계속되다가 12월 둘째주에는 0.38%를 기록했다. 서울 양천구 목동의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자사고와 외고 등이 사라지면 기존 학군 지역으로 학생 자녀를 가진 부모들이 모일 수 밖에 없다”면서 “교육 정책으로 효과는 잘 모르겠지만, 부동산 시장에서는 학군 지역 집값과 전세값을 올리는 요인이 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강남 등의 집값 상승률도 고공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12월 둘째주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29%, 송파구는 0.25%, 서초구는 0.25%를 기록했다. 또 용산도 0.18%, 마포도 0.16%의 상승률을 보였다. 마포의 한 공인중개사는 “재건축·재개발에 대한 투자 수요는 줄었지만, 역세권 새 아파트에는 오히려 돈이 더 몰리고 있다”면서 “아직 입주를 하지 않은 입주권의 경우 말 그대로 집주인이 ‘갑’(甲)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