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0억원 이상 해외직구 대행업자 6월까지 세관 등록해야

연 10억원 이상 해외직구 대행업자 6월까지 세관 등록해야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05-27 10:04
수정 2022-05-27 1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는 7월부터 수입품을 10억원 이상 구매 대행한 해외 직접구매(직구) 업자는 반드시 세관 등록 뒤 영업을 해야 한다. 등록하지 않는 경우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관세청은 오는 7월 1일부터 구매대행업자 등록제를 시행한다며 27일 이같이 전했다. 지난해 7월 구매대행업자 등록제 시행 뒤 1년 간의 등록 유예기간을 둔 데 이어 본격 시행에 들어가는 것이다. 등록 대상은 직전연도 구매 대행한 수입 물품 가격이 총 10억원 이상이 업체이며, 금액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구매대행 업체가 등록을 희망할 경우에도 등록부호를 발급한다. 직접 세관에 방문하거나 우편, 전자우편, 팩스 등을 통해 등록 신청을 할 수 있으며, 다음달 30일까지 등록을 마쳐야 한다.

해외직구 물품의 수입통관(전자상거래 물품 수입통관)은 2017년 21억 달러에서 2021년 47억 달러로 급증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해외직구 구매대행업자가 세관 등록을 하지 않으면 수입통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등록대상 업체는 정해진 기간 내 반드시 신청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자세한 내용은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관세청 홈페이지 캡처
관세청 홈페이지 캡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