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입주 절벽’ 더 심각…서울 아파트 집들이 올해 반토막

내년 ‘입주 절벽’ 더 심각…서울 아파트 집들이 올해 반토막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5-03-14 14:12
수정 2025-03-14 1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 입주 물량 올해 27만→내년 19만

이미지 확대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연합뉴스


내년 입주 절벽이 더 심각할 전망이다. 특히 서울의 입주 물량은 올해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 이른바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열풍이 거셀 것으로 관측된다.

14일 한국부동산원과 부동산R114가 공동 발표한 ‘2025~2026년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 정보’에 따르면, 집들이가 예정된 아파트 물량은 올해 27만 4360가구에서 내년 19만 773가구로 떨어진다.지난해 입주 물량이 36만여가구였던 것과 비교해 올해 입주 예정 물량이 20% 넘게 쪼그라드는데, 내년에는 감소 폭이 더 커지는 것이다.

입주 절벽은 2022년부터 착공 물량이 급감한 탓으로 분석된다. 착공에서 입주까지 통상 2~3년 걸리는데, 2021년 주택 착공 물량이 58만 4000가구였던 것에 비해 2022년에는 38만 3404가구로 집계됐다.

서울의 경우 올해 4만 6710가구 입주가 예정됐는데, 내년에는 2만 4462가구로 47.6% 주저앉을 것으로 예상됐다. 인천(2만 1932가구→1만 4909가구), 경기(7만 1472가구→6만 1712가구) 등 입주 물량이 모두 감소한다.

수도권 입주 물량은 올해 14만 114가구, 내년 10만 1083가구다. 최근 10년(2015~2024년)간 수도권 연평균 입주 물량(14만 4977가구)을 밑돈다.

지방은 올해 13만 4246가구에서 내년 8만 9690가구로 감소할 전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