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앞에 붙어 있는 대출상품 관련 현수막. 2024.5.9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를 고려할 때 장기적인 재정 전망도 밝지 않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2022년 8월 내놓은 ‘2022∼2070년 장기 재정전망’에 따르면 2070년 국가채무는 7137조 6000억원으로 GDP의 192.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저출생으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서 경제 성장률은 하락하고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는 영향으로 나랏빚이 계속 늘어난다는 것이다.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속에 노동력이 감소하면서 세수는 부진한 흐름을 보이지만, 사회보장 및 의료서비스 비용은 증가하면서, 20년 안에 부채의 지속가능성이 큰 걱정거리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인구 구조를 감안하면 잠재성장률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앞서 IMF도 2019년만 해도 42.1%에 머물렀던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중이 코로나 대응을 거치며 급증해 2021년에는 51.3%로 처음 50%를 넘었다고 추정한 바 있다.
보고서는 향후 영향을 끼칠 최대 변수로 금리를 꼽으면서, 금리가 기본 시나리오로 가정한 2%보다 1%포인트 올라갈 경우 해당 수치는 2050년쯤 141%로 치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지난해 정부의 재정지출 감소율이 10.5%에 이른다면서도, 감세와 세수 부진 등의 여파로 여전히 적자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도 “한국이 부채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민생지원금이 지급될 경우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