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경감 지시에도…통신 물가 33년 만에 ‘최고치’

尹대통령 경감 지시에도…통신 물가 33년 만에 ‘최고치’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10-23 08:01
수정 2023-10-23 08: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월 1.0% 상승…단말기값·수리비까지 다 올라

이미지 확대
통신비 컴퓨터그래픽. 연합뉴스
통신비 컴퓨터그래픽. 연합뉴스
통신 물가가 올해 들어 9월까지 3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 물가는 최근까지 비교적 낮은 상승률을 유지해왔지만, 휴대전화 요금은 물론 스마트폰 가격, 단말기 수리비까지 일제히 오르면서 2년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1~9월) 통신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 1990년(7.4%) 이후 33년 만에 최대 폭이다. 2018년 이후 4년 연속 하락한 통신 물가는 지난해 0.7% 상승한 데 이어 올해 상승 폭을 더 키웠다.

통신 물가는 휴대전화 요금, 단말기 가격, 인터넷 요금, 휴대전화 수리비, 유선 전화료, 우편서비스 등 6개 품목으로 구성된다. 항목별로 등락은 있지만 전체 통신 물가는 지금까지 상승률이 매우 낮았다. 휴대전화 요금이 소비자물가 항목에 포함된 1995년 이후 연간 통신 물가는 2016·2017·2022년 등 3개 연도만 제외하고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최근 통신 물가 상승세는 휴대 전화료와 휴대전화기가 끌어올리고 있다.

휴대전화기는 신제품 출시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1~9월 3.5%나 올라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5년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같은 기간 휴대전화 통신 요금도 0.2% 오르며 지난해(0.4%)에 이어 상승세가 계속됐다. 2년 연속 통신 요금이 오른 것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5년 이후 처음이다.

인터넷 이용료도 0.3% 올라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단말기 수리비도 액정 가격 인상 등 여파로 5.1%나 껑충 뛰었다.

정부는 지난 2월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의 통신 요금 부담 경감을 지시한 뒤로 통신 물가 관리에 전력을 쏟고 있다. 윤 대통령 지시 이후 이동통신사들이 청년·고령층을 위한 중간 요금제를 출시하고 한시적으로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기도 했지만 통신 물가는 쉽게 잡히지 않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