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제공
실제로 독일은 그린 수소 생산을 목표로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해 킬로와트아워(kWh) 당 3.723센트씩 전력 부과금을 면제하고 수소 공급이 가능한 33개국을 대상으로 그린수소 수입 전략을 수립했다.
미국은 자국 내 수소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약 95억 달러(인프라법), 225억 달러(인플레이션 감축법) 규모의 보조금을 활용해 기술 개발과 생산 단가 절감을 위해 힘쓰고 있다. 2032년 말까지 수소 생산자에게 ㎏당 최소 60센트에서 최대 3달러까지 세액을 공제해 주고 있다.
일본은 수소 사회 실현을 위해 2027년부터 15년간 화석 연료와의 발전 단가 차이를 지원할 예정이며 호주·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로부터 수소를 수입하는 정책을 병행 추진 중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등에 따르면 세계 수소 생산 시장 규모는 2020년 1296억 달러에서 연평균 9.2%의 성장해 2025년에는 약 201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는 26일 ‘수소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① 친환경 수소 생산을 위한 주요국 정책 비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수소 산업 정책 연구 시리즈 중 첫번째 보고서로 주요 국가의 수소 생산 정책 비교를 통한 국가별 청정 수소 생산 목표, 기업 지원책, 투입 예산과 특징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2021년 기준 전 세계 수소 생산량 약 9400만t 중 81%가 화석 연료로 만든 그레이 수소로 생산됐으나 2030년까지 수소 생산 시설인 수전해 설비 규모가 연평균 86% 증가해 신재생 에너지 기반의 그린 수소를 중심으로 글로벌 수소 생산량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실제로 중앙정부 주도로 수소 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은 2020년 기준 세계 1위 수소 생산시장(274억 달러, 세계시장 점유율 21.1%)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2025년에 약 42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도 수소 생산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생산 기반 기술 확보를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2019년부터 수소 생산 기지 구축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2022년부터는 청정 수소 생산 기반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수전해 기반 생산기지(2022년)와 탄소 포집형 수소 생산기지 구축(2023년)을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수소 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법’이 제정됐으나 인·허가 특례 등 구체적인 행정적 지원은 여전히 미비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한국무역협회 장현숙 수석연구위원은 “수소 생산시설의 인·허가 신속 처리와 청정 수소 생산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가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