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전문가 “미중 지정학적 경쟁 이해가 투자 필수”
중국이 경제적·군사적 힘을 키워가면서 중국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이나 중국 투자자들은 고민에 빠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전략관계 자문기업 ‘아틀라스 오가니제이션’ 설립자이자 중국 전문가인 조너선 워드는 아시아 기업인 포럼인 ‘제프리스 아시아 포럼’에서 “중국이 경제력을 군사력으로 전환하면서 나는 중국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정말 고민에 빠져 있다고 생각한다”고 분석한 것으로 미국 경제전문 채널 CNBC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는 “투자하는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려는지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美투자자, 중국 투자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 몰라”
워드는 지난 14일에서 16일까지 열린 이 포럼 개막 연설에서 “중국의 항공, 첨단 기술, 건설 분야를 포함한 많은 기업이 ‘군의 지원을 받는다’”고 진단하면서 “국가와 업계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투자자들은 중국 정부가 기업을 얼마나 많이 통제하는지, 기업은 얼마나 독립적인지 알기가 더욱 어렵다”고 강조했다.
중국 방위비 지출은 증가해 왔고, 지역의 이웃 국가들의 지출을 합친 것보다 더 많다. 중국은 지상군 뿐 아니라 해군, 공군, 미사일 전력이 세계 최고급이라고 워드는 미국 국방부 자료를 인용해 말했다. 워드는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국가 목표는 전쟁에서 싸워서 이기는 강한 군대를 만드는 것임을 명확히 했다고 전했다.
베이징은 또 미국은 세계 평화의 위협이라고 선언했다. 우첸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달 초 “지역 불안의 최선두이자 국제질서의 위반자, 세계 평화의 파괴자가 바로 미국”이라고 말했다.
‘중화 부흥’ 실현은 … “국영기업도 경제 전투함”
중국 지도자들은 ‘중화 부흥’을 외치면서 미국과 지역과의 공개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문제는 ‘중화 부흥’을 어떻게 달성할 것이냐다. 이에 대해 워드는 “중국은 국방력뿐만 아니라 경제엔진, 즉 국영기업이 경제 전투 함대”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미국 기업에 대한 지정학적 함의가 있다. 워드는 “중요한 것은 산업과 기술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국의 목표이고, 당과 기업 사이에 이런 목표가 형성되고 있다”면서도 “많은 글로벌 은행은 지정학적 현실이 형성되는 와중에도 중국에서 영업 확대를 노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세계 선두급 투자은행과 투자자들조차도 (이런 지정학적 위험)을 정말로 제대로 평가하고 있느냐”고 반문했다.
워드는 미국 기업은 미국 정부의 장기적 국가안보 목표에서 보조를 같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국가가 보증하는 인권 학대가 점점 명확해지면서 우리는 우리 기업들이 직간접적으로 연루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말했다.
미중 지정학적 경쟁 승자는… “강한 동맹이 결정”
미국과 중국의 경쟁에서 누가 최종 승자가 될까. 국립싱가포르대 아시아연구소의 키쇼어 마부바니는 두 나라의 지정학적 경쟁 결과는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있다고 진단한다. 마부바니는 “미국과 소련 간의 제1차 냉전에서 미국은 유럽, 일본, 한국, 심지어 다른 개발도상국과 같은 더 강한 동맹국을 가졌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분명하다”면서도 미국과 중국의 오늘 상황은 그렇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는 같은 회의에서 “이번의 차이점은 세계 대다수 국가가 긴급한 현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 반대하면서 미국 편을 드는 국가는 매우 적다”고 말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美투자자, 중국 투자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 몰라”
워드는 지난 14일에서 16일까지 열린 이 포럼 개막 연설에서 “중국의 항공, 첨단 기술, 건설 분야를 포함한 많은 기업이 ‘군의 지원을 받는다’”고 진단하면서 “국가와 업계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투자자들은 중국 정부가 기업을 얼마나 많이 통제하는지, 기업은 얼마나 독립적인지 알기가 더욱 어렵다”고 강조했다.
중국 방위비 지출은 증가해 왔고, 지역의 이웃 국가들의 지출을 합친 것보다 더 많다. 중국은 지상군 뿐 아니라 해군, 공군, 미사일 전력이 세계 최고급이라고 워드는 미국 국방부 자료를 인용해 말했다. 워드는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국가 목표는 전쟁에서 싸워서 이기는 강한 군대를 만드는 것임을 명확히 했다고 전했다.
베이징은 또 미국은 세계 평화의 위협이라고 선언했다. 우첸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달 초 “지역 불안의 최선두이자 국제질서의 위반자, 세계 평화의 파괴자가 바로 미국”이라고 말했다.
‘중화 부흥’ 실현은 … “국영기업도 경제 전투함”
미국이 인민해방군의 현대화를 추구하며 첨단 기술 선도국이 되려는 중국을 최우선적인 전략적 위협이라고 규정하고 이를 위한 주요 통로로 이용되는 중국‘천인계획’을 겨냥해 칼날을 빼들었다. 사진은 지난해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 오사카 AFP 연합뉴스
여기에 미국 기업에 대한 지정학적 함의가 있다. 워드는 “중요한 것은 산업과 기술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국의 목표이고, 당과 기업 사이에 이런 목표가 형성되고 있다”면서도 “많은 글로벌 은행은 지정학적 현실이 형성되는 와중에도 중국에서 영업 확대를 노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세계 선두급 투자은행과 투자자들조차도 (이런 지정학적 위험)을 정말로 제대로 평가하고 있느냐”고 반문했다.
워드는 미국 기업은 미국 정부의 장기적 국가안보 목표에서 보조를 같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국가가 보증하는 인권 학대가 점점 명확해지면서 우리는 우리 기업들이 직간접적으로 연루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말했다.
미중 지정학적 경쟁 승자는… “강한 동맹이 결정”
미국과 중국의 경쟁에서 누가 최종 승자가 될까. 국립싱가포르대 아시아연구소의 키쇼어 마부바니는 두 나라의 지정학적 경쟁 결과는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있다고 진단한다. 마부바니는 “미국과 소련 간의 제1차 냉전에서 미국은 유럽, 일본, 한국, 심지어 다른 개발도상국과 같은 더 강한 동맹국을 가졌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분명하다”면서도 미국과 중국의 오늘 상황은 그렇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는 같은 회의에서 “이번의 차이점은 세계 대다수 국가가 긴급한 현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 반대하면서 미국 편을 드는 국가는 매우 적다”고 말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