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거래 ‘엄지족’이 대세…코스닥은 40% 육박

주식거래 ‘엄지족’이 대세…코스닥은 40% 육박

입력 2017-10-01 10:41
업데이트 2017-10-01 1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폰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이른바 ‘엄지족’의 주식거래 비중이 올해 코스닥 시장에서 이미 40%에 육박하는 등 사상 최고 경신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을 통해 거래된 코스닥 주식은 9월28일 현재까지 일평균 2억7천954만주로 전체 코스닥 주식 거래량의 39.4%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연간 코스닥 시장의 모바일 거래 비중(36.1%)보다 3.3%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2009년까지 2.8%이던 코스닥의 모바일 거래 비중은 2010년 4.1%, 2011년 9.7%, 2012년 16.1%, 2013년 20.3%, 2014년 24.3%, 2015년 30.1% 등 매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왔다.

올해 코스피 시장의 모바일 거래량도 1억1천819만주로, 전체의 34.0%에 달했다.

코스피 시장도 모바일 거래 비중이 2009년 2.4%에서 2010년 3.5%, 2011년 8.5%, 2012년 15.0%, 2013년 19.3%, 2014년 21.5%, 2015년 27.3%, 2016년 31.7%로 역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증권사들이 비대면 계좌개설 등과 맞물려 무료 수수료 이벤트를 벌인 영향도 크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거래의 디지털화 추세에 맞춰 모바일 부문의 서비스 경쟁력이 중시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이나 영업점 단말기, 유선단말기(ARS)를 이용한 거래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다.

올해 영업점 단말기를 이용한 코스닥 주식 거래량 비중은 5.7%에 불과했다.

유선단말기 거래 비중은 0.3%, 기타는 3.5%에 각각 그쳤다.

코스닥의 HTS 거래량 비중은 51.1%로 아직 굳건한 1위이지만 2009년 86.0%와 비교하면 위축 속도는 다른 주문 매체보다 오히려 빠른 편이다.

코스피 시장 역시 영업점단말기(14.6%)와 유선기(0.4%), 기타(7.7%) 등 전통 주문매체 비중이 빠르게 낮아졌다.

HTS 비중은 43.3%로 역시 제일 크지만 2009년의 73.4%와 비교하면 눈에 띄게 낮아진 상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