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50억원 차이였다. 첫 회장 타이틀을 단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과 연임론이 나오는 윤종규KB금융 회장의 진검승부는 ‘종이 한장’에서 갈렸다. 일단 조 회장이 웃었다. 신한금융이 2001년 지주사 설립 이래 최대 분기 실적을 거두며 1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단발성 이익을 제외하면 KB금융과의 격차가 거의 없어 ‘금융권 왕좌 경쟁’이 흥미진진해졌다.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에도 조 회장이 ‘웃어도 웃는 게 아닌’ 이유다.
KB와 신한은 20일 나란히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당기순이익은 신한금융 9971억원, KB금융 8701억원이다. 신한이 1270억원 많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3%(7714억원) 늘었다. KB도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이다. 전년 동기 대비 59.7%(3251억원)나 급증해서다. KB 순익이 크게 늘면서 두 라이벌의 격차는 지난해 1분기 2300억원에서 절반 수준으로 좁혀졌다.
KB 측은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성적표가 엇비슷하다”고 강조했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신한카드의 대손충당금(떼일 것에 대비해 쌓아놓는 돈) 산출방법이 바뀌면서 2800억원(세후)의 대손충당금이 환입됐다. 손실 처리했던 충당금을 되돌려 받아 뜻하지 않은 수익이 생긴 것이다. KB금융은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딧은행(BCC) 지분 매각이 확정돼 과거에 비용 처리한 금액 1580억원이 수익으로 잡혔다.
이런 일회성 이익을 빼면 신한은 순수 순익이 7171억원(9971억-2800억), KB는 7121억원(8701억-1580억)이다. 50억원 차이다. “2분기에는 KB의 역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증권가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정희수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KB의 경우 증권, 캐피탈, 손보 등 비은행 쪽이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결국 은행보다는 비은행 싸움인데 신한금융은 카드 말고는 뚜렷한 성장이 없다”고 지적했다.
KB는 은행이, 신한은 카드가 각각 ‘효자’ 노릇을 했다. 주력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은 1분기 6635억원 순익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71.4%(2763억원) 늘었다. 반면 신한은행은 1분기 순이익이 5346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되레 7.0%(5749억원) 줄었다. 비이자이익 중에서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상품 분야 이익(1496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19.4% 감소한 것이 뼈아팠다.
카드업계 ‘부동의 1위’ 신한카드는 일회성 대손충당금 환입 효과로 1분기 4018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전년 동기 대비 170.0% 늘었다. 일회성 요인을 빼도 순이익이 1218억원이나 된다. KB국민카드는 833억원에 그쳤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KB와 신한은 20일 나란히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당기순이익은 신한금융 9971억원, KB금융 8701억원이다. 신한이 1270억원 많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3%(7714억원) 늘었다. KB도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이다. 전년 동기 대비 59.7%(3251억원)나 급증해서다. KB 순익이 크게 늘면서 두 라이벌의 격차는 지난해 1분기 2300억원에서 절반 수준으로 좁혀졌다.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이런 일회성 이익을 빼면 신한은 순수 순익이 7171억원(9971억-2800억), KB는 7121억원(8701억-1580억)이다. 50억원 차이다. “2분기에는 KB의 역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증권가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정희수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KB의 경우 증권, 캐피탈, 손보 등 비은행 쪽이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결국 은행보다는 비은행 싸움인데 신한금융은 카드 말고는 뚜렷한 성장이 없다”고 지적했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카드업계 ‘부동의 1위’ 신한카드는 일회성 대손충당금 환입 효과로 1분기 4018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전년 동기 대비 170.0% 늘었다. 일회성 요인을 빼도 순이익이 1218억원이나 된다. KB국민카드는 833억원에 그쳤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