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삼성’ 선언 기대반 우려반
삼성그룹의 미래전략실 해체는 오너 일가 중심의 구시대적 재벌에서 탈피해 전문경영인 중심의 기업으로 변화하려는 결단으로 풀이된다. 총수의 구속으로 이어진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는 선언으로도 평가된다. 그러나 계열사가 60여개에 달하는 거대 조직의 컨트롤타워가 사라지면서 기업구조 개편과 인수합병(M&A) 등에서 선제적 대응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미전실을 해체한 삼성은 향후 계열사별로 전문경영인과 이사회가 중심이 된 자율적인 경영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그룹의 고위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을 단일 컨트롤타워가 주도하는 경직된 조직이 아닌 글로벌 기업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밑그림을 그려 왔다”면서 “미전실 해체는 예견된 수순”이라고 말했다.
각 계열사의 경영 전략을 주도해 온 미전실의 컨트롤타워 역할은 삼성의 가파른 성장의 원동력이었다는 평가와 기업의 투명한 의사결정을 가로막고 오너 일가의 불법행위를 비호했다는 비판을 동시에 받는다. 2014년 경영 전면에 나선 이 부회장은 인수합병을 통한 기술순혈주의 탈피와 수평적이고 유연한 조직문화 구축, 등기이사 선임을 통한 책임경영 강화 등 ‘뉴 삼성’이라는 기치 아래 글로벌 기업을 지향하는 체질 개선을 이어 왔다.
그러나 지난 58년간 거대 조직을 이끌어 왔던 컨트롤타워의 부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찮다. 삼성그룹은 각 계열사가 미전실의 지휘 아래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며 공고한 수직계열화 체제를 구축해 왔는데, 미전실이 해체되면 계열사 간의 업무를 조정하고 시너지 효과를 내기 어려워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위산업과 화학 등 그룹의 비핵심 사업을 매각하는 사업구조 개편 작업과 신사업 진출, 인수합병에 대한 의사결정이 발목이 잡힐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80억 달러(약 9조 6000억원)의 규모에 달했던 미국 전장기업 하만 인수처럼 과감한 조직 개편은 그룹의 컨트롤타워 없이 각 계열사가 결단을 내리기 힘든 일이라는 것이다.
미전실 해체가 근본적인 쇄신의 해법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경제개혁연대는 이날 논평을 내고 “미전실 해체는 현재의 미전실 기능을 부분적으로 분할해 핵심 계열사 내부로 이전하는 것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컨트롤타워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각 계열사와 이해관계자들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조직구조를 투명하게 밝히고 시장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7-03-0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