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취약… 전면 서비스 힘들어
신한은행이 이달 초 시중은행 최초로 비(非)대면 실명인증 서비스를 도입했지만 아직 ‘2% 부족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영업점에 가지 않고도 금융거래가 가능한 ‘점포 없는 은행’의 첫걸음을 내디뎠지만 여전히 보안이 취약해 전면적인 서비스는 힘들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신한은행이 ‘최초의 비대면 실명인증’ 타이틀을 위해 서비스 출시를 서두르면서 무리수를 뒀다는 시각도 있다.신한은행이 써니뱅크에서 채택한 비대면 인증 절차는 ‘휴대전화 인증→신분증 사본 제출→영상통화’다. 그런데 고객이 신분증을 휴대전화로 촬영해 제출하는 방식은 그동안 비대면 실명인증 태스크포스(TF)에서 꾸준히 보안 문제가 지적돼 왔다. 사진을 오려 붙여 위조 신분증을 제출해도 이를 걸러 낼 방법이 없다. 현재 은행의 신분증 위·변조 검증 시스템은 이름·주민등록증·주민등록증발급일자(OCR) 정보만 확인할 수 있다. 상담원이 화상통화로 고객 얼굴과 신분증 사진을 대조해도 처음부터 위조 신분증이라면 이를 잡아 낼 수 없다. 신한은행은 “금융보안원에서 비대면 인증 방식에 문제가 없다고 해서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하지만 결국 대포통장 우려 때문에 신규 계좌 개설은 당분간 막아 놨다.
은행권이 공동 추진 중인 ‘타행 기존 계좌 인증방식’을 적용하면 금융사기 걱정 없이 새로 계좌를 열 수 있다. 그런데 신한은 이번에 이를 채택하지 않았다. 공동 기술개발이 오는 10일쯤 완료될 예정이어서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한은 이달 초 ‘비대면 실명인증 서비스 최초 출시’를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다소 더 걸리는 타행 계좌 인증 방식은 일단 제쳐 둔 것 같다”고 전했다.
‘무방문·무서류’라는 모바일 간편대출도 부분 혁신에 그쳤다. 휴대전화 비대면 인증을 통해 대출을 신청할 수 있지만 대출 승인 이후엔 영업점에 가서 공인인증서(보안카드)를 발급받아야 돈을 찾을 수 있다.
물론 신한은행 디지털 키오스크에서 ‘영업점 직원을 만나지 않고도’ 해당 업무를 할 수 있다. 은행이 문을 닫은 이후(오전 7~9시, 오후 4시~11시 30분)에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의성은 높아졌지만 디지털 키오스크 역시 신한은행 영업점(17곳)에 있다. 금융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비대면 실명인증 같은 혁신적인 서비스라도 보안 문제는 실적이나 속도 경쟁에 나서면 안 된다”며 “지난해 1월 카드 고객 정보 1억건 유출의 씁쓸한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12-07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