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신규취업 12년만에 최고
지난해 새로 직장을 찾은 사람이 54만명가량 늘어나 1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하지만 50대 이상의 장년층과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었다. 일자리의 질이 나빠졌다는 의미다. 고용률 70% 달성을 목표로 한 정부가 일자리 숫자에만 집착하지 말고 청년실업과 노동시장 이중 구조 해결에 좀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하지만 속사정을 들춰 보면 그리 좋아할 일이 아니다. 한창 일할 나이인 30대는 일자리가 줄었고 50대 이상에서 큰 폭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30대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2만명 감소한 반면 50대는 24만 1000명, 60세 이상은 20만명 증가했다.
그렇다고 중장년층의 일자리 질이 좋은 것도 아니다.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끈 60세 이상의 경우 정규직은 54만 1000명으로 1년 새 5.3%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비정규직은 118만 5000명으로 같은 기간 11.1% 급증했다. 20대도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이 크게 늘었다. 20대의 경우 정규직은 232만명으로 1.8% 늘었지만 비정규직은 109만명으로 5.8%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비정규직이 크게 늘면서 고용 안정성도 뒷걸음질친 것이다. 지난해 8월 기준 비정규직은 총 607만 7000명으로 사상 처음 600만명을 넘어섰다.
문제는 지난해보다 올해 고용 시장 전망이 더 나쁘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지난해보다 45만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동원 고려대 노동대학원장은 “네덜란드 등 선진국처럼 최소한 같은 일을 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에게는 임금을 똑같이 주는 등 차별을 없애야 한다”면서 “청년실업 문제는 기업 현장에서 실제 써 먹을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직업 훈련을 강화해야 해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1-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