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카드 해지 고객 늘자 현금·경품 미끼로 모집 경쟁
회사원 이모(43)씨는 지난 18일 자녀와 함께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를 찾았다가 생각지 않았던 신용카드를 만들었다. 자신을 신한카드 모집인이라고 밝힌 한 중년 여성이 다가와 “현금 5만원을 드릴 테니 좋은 기회에 카드 한 장 더 만들라”고 하는데 거절할 이유가 없었다. 이씨는 “카드를 만들 때 현금을 주거나 길거리에서 다가와 가입을 권하는 게 다 없어진 줄 알았는데 여전하더라”면서 “정보 유출 이후 카드를 바꾸는 사람이 늘어서 더 경쟁이 치열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재발급 신청에만 5시간
고객 정보의 대규모 유출로 카드 재발급 신청이 몰려드는 가운데 21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백화점 지하에 있는 롯데카드센터에서 한 직원이 재발급에 필요한 시간을 알리는 팻말을 들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은행과 카드사 등 금융권에 종사하는 지인이 많아 자기 명의의 신용카드만 5개를 갖고 있는 회사원 현모(29·여)씨는 지난 주말 카드사들로부터 3통의 전화를 받았다. 카드사 정보 유출 사건을 계기로 고객 정보보호를 강화한다며 한 달 3000원짜리 신용정보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라는 내용이었다. 1개월 무료 서비스부터 10% 가격 할인까지 카드사마다 서로 다른 혜택을 제시했다. 현씨는 “정보 유출 이후 오히려 이런 전화가 더 많이 오는 것 같다”면서 “앞으로 전화 영업을 못 한다고 하는데 카드사 입장에서는 모르지만 고객한테는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현대카드를 비롯해 신한, 삼성카드 등은 금융 당국의 비대면 상품판매 조치가 있기 전인 지난 26일까지 카드가입 권유와 부가 서비스 판매 등 텔레마케팅 영업을 지속했다.
금융 당국이 27일부터 카드사를 포함해 은행, 보험사 등 전 금융사의 전화 대출 권유와 상품판매를 전면 금지하자 오히려 카드 모집인을 통한 길거리 영업 등 불법행위가 성행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융사들이 가장 큰 마케팅 수단인 텔레마케팅(TM)을 못 하게 하면 다른 채널을 통한 영업을 강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드업계의 경쟁이 치열한 것은 시장의 크기가 한정돼 있어 ‘고객 뺏기고 빼앗기’를 통해서만 자사의 파이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기존에 카드를 여러 장 두고 사용하는 고객들이 많아 카드 3사의 해지, 탈회 고객이 많아도 다른 카드사의 직접적인 이익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카드업계 전체적으로 위기에 처해 있는 만큼 수익 감소폭을 줄이기 위한 영업력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4-01-2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