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아내들과 가계가 앓고 있다… 스트레스 코리아 2제] 집값 36% 급락땐 고위험가구 8배↑

[대한민국 아내들과 가계가 앓고 있다… 스트레스 코리아 2제] 집값 36% 급락땐 고위험가구 8배↑

입력 2012-11-14 00:00
수정 2012-11-14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계부채 ‘스트레스 테스트’

집값이 1990년대 초반 거품 붕괴 시절 일본처럼 36% 떨어진다고 가정하자. 금융회사가 만기가 돌아오는 주택담보 대출을 회수하면 집을 처분해도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위험가구가 8배나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만기만 연장된다면 위험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지 확대
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이 13일 서울대에서 연 정책심포지엄에서 김영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장민 금융위원회 자문관, 최성호 코리아크레딧뷰로연구소 연구원 등은 이 같은 내용의 ‘우리나라 가계부채,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김 교수 등은 집값이 최악으로 떨어진 3가지 상황을 가정해 주택담보 대출 보유가구의 상환 위험을 분석했다.

지난 6월 기준 전체 주택담보 대출 가구 중 아파트 값 확보 등이 가능한 89만 가구를 분석했다. 이 중 1년 안에 대출 만기가 돌아오며 담보인정비율(LTV)이 낙찰가율(시세 대비 경매 낙찰가 비율)보다 높아 대출금을 갚지 못할 위험이 높은 ‘깡통주택’(고위험가구)이 7.02%(6만 2000가구)다.

최악의 상황은 집값이 1990년대 초반 일본처럼 36.1% 급락하는 경우다. 이때 금융권이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지 않으면 고위험 가구 비중은 60%(53만 4000가구)로 지금보다 8배 이상 급증한다.

같은 조건에서 집값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미국 수준(-19%)으로 떨어진다면 고위험군은 47.1%(41만 9000가구)로 늘어난다. 우리나라 외환위기 시절 수준(-14.9%)으로 떨어지면 44.3%(39만 4000가구)로 높아진다.

반면 만기가 연장되면 충격은 현저히 낮아졌다. 금융권이 만기 연장을 해 주면 집값이 36.1% 떨어져도 연체율은 0.1% 포인트 상승에 그쳤다.

집값이 급락해도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대출금을 회수하지 않는다면 깡통주택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는 얘기다. 김 교수는 “시장여건을 봐 가며 금융회사들이 탄력적으로 대응할 경우 가계빚 경착륙은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2-11-1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