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채무자, 경기 불황·집값 하락 직격탄… ‘불량 대출자’ 전락

다중채무자, 경기 불황·집값 하락 직격탄… ‘불량 대출자’ 전락

입력 2012-08-17 00:00
수정 2012-08-17 00: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빚 못 갚는 가계대출자 1년새 80만명… “하반기에 더 쏟아질 것” 경고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렸다가 원금과 이자가 밀린 ‘불량 대출자’가 최근 1년 사이 80만명이나 쏟아졌다. 신용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많은 대출이자를 부담하는 서민들이 대부분이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벼랑 끝에 내몰린 한계 대출자들이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지 확대


16일 개인신용평가회사인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가계대출자 1667만 6488명의 불량률이 지난 3월 말 기준 4.78%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4.67%)보다 0.11% 포인트 상승했다. 불량률은 최근 1년 사이에 대출이 연체된 적이 있어 은행연합회에 통보되거나,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을 연체한 대출자의 비율이다. 지금은 쓰지 않는 표현인 ‘신용불량자’와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된다. 연간 가계대출자의 5% 정도, 즉 79만 7136명이 최근 1년 사이 불량 대출자 신세가 됐다.

저소득층이 분포한 하위 신용등급(7~10등급)의 불량률은 평균 21.98%에 이른다. 인원으로 따지면 약 62만명으로 전체 불량 대출자의 77.67%다. 소득이 높고 신용이 좋은 1~3등급 불량률이 1%를 밑도는 것과 대조된다.

저소득층이 대거 불량 대출자로 전락한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주택담보대출의 부실로 분석된다. 주택담보대출 불량률은 평균 2.49%이다. 하지만 하위등급은 8등급 20.30%, 9등급 29.69%, 10등급 45.90%로 평균치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10등급만 보자면 거의 2명 중 1명꼴로 대출을 연체하고 있는 것이다.

김선빈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고용시장 경색과 자영업자 급증으로 저소득층이 여기저기서 빚을 냈다가 집값 하락의 폭탄을 가장 먼저 맞았다.”고 지적했다.

신용 하위등급의 부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또 하나의 원인은 대부분 여기저기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이기 때문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지난달 대출자 6만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금융회사 여러 곳에 빚을 질수록 대출자의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회사 1곳에서 대출을 받으면 부담률이 18%이지만, 3곳은 23%, 5곳은 25%, 7곳 이상은 28%다. 다중채무자일수록 상환 부담이 커져 신용불량자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얘기다.

금융감독원은 실물 경제의 충격이 대출 부실에 영향을 주는 데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본다. 1, 2분기 성장률은 예상보다 나빴다. 하반기로 갈수록 불량 대출자가 더 쏟아질 것이라는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8-1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