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7% 감소한 463억 달러수입도 0.2% 줄어든 441억달러
4월 무역수지가 22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지식경제부는 4월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4.7% 감소한 463억 달러, 수입은 0.2% 감소한 441억 달러를 기록하며 22억 달러 흑자를 냈다고 1일 밝혔다.
이로써 지난 2월 이후 세 달 연속 두자릿수 흑자를 이어가게 됐다. 2월과 3월에는 각각 22억 달러, 23억 달러 흑자를 냈다.
무역수지 흑자에도 수출은 작년보다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경부는 수출이 줄어든 이유로 조업일수 감소, 주요 품목 수출 부진 등을 들었다. 지난달 조업일수는 선거일이 낀 탓에 작년 4월(23.5)보다 1.5일 감소한 22일이었다.
역대 두번째로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던 지난해 4월(485억 달러)에 대한 기저효과까지 더해졌다.
4월 수출물량은 선박, 무선통신기기는 부진을 이어갔고 석유제품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일반기계, 철강 등 주요 품목의 수출도 둔화했다.
자동차(13.6%), 일반기계(8.5%), 자동차부품(4.8%), 철강 (4%) 등은 수출이 늘었다. 반면에 큰 폭으로 감소한 선박(-21.7%), 무선통신기기(-37.1%)를 비롯해 석유제품(-11.1%), 반도체 (-8.3%), 석유화학(-4.9%) 등은 수출이 줄었다.
무선통신기기는 해외생산 비중이 확대되면서 수출량이 급감했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휴대전화의 80.6%, 스마트폰의 90.8%가 해외에서 생산됐다.
지역별로는 중동(34.9%), 독립국가연합(24.5%) 등 신흥시장 수출은 호조였다. 미국(5.6%), 동남아국가연합(4%), 중국(1.7%) 수출도 증가했다.
그러나 유럽연합(EU·-16.7%), 일본(-11.3%) 등 선진시장 수출은 부진했다.
수입의 경우 높은 에너지 수입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원자재·자본재 수입이 둔화하고 소비재 수입이 감소해 전년보다 소폭 감소했다.
원자재 수입 증가율은 14%로 집계됐다. 원유, 가스 등의 도입 물량이 증가했지만 철강제품·비철금속 수입이 감소하면서 지난해(25.2%)보다 증가세가 다소 둔화했다.
자본재 수입(4.6%)은 소폭 증가했지만 소비재 수입(-4.8%)은 소폭 감소했다.
자본재 가운데 화물선(71.1%), 밸브(44.8%) 수입 증가가 두드러졌다. 소비재는 돼지고기(-43.4%), 쇠고기(-19.9%) 수입이 크게 줄었다.
지경부는 앞으로도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무역수지 흑자폭이 줄어들 것을 우려했다. 유럽 재정위기, 중국 경제성장 둔화, 엔저 추세 등을 불안 요소로 꼽으며 지속적으로 수출 환경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이란을 비롯한 중동 국가들의 정세가 불안해 국제유가가 당초 전망(두바이유 기준·배럴당 110달러)보다 높은 배럴당 116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무역수지 흑자 축소를 전망했다.
지경부는 이에 FTA를 활용해 선진국 수출 확대를 추진한다. 중국 수출 둔화 대비책으로는 코트라 등을 통해 수출 인프라를 확충해 내수 소비재 시장 진출을 돕는다.
한편 세계무역기구(WTO)의 통계(2월 말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수출 7위를 유지했다. 무역 10대 강국 가운데 원자재 수출국인 러시아를 제외한 주요국가의 수출 증가율이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