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으로부터 부산저축은행 구명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이 부산저축은행에 투자한 한 투자신탁 업체의 사외이사를 지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사는 그러나 김종창 전 원장이 지금까지 회사 경영에 관여한 사실이 전혀 없으며,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투자도 안전할 것으로 믿고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이뤄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금감원과 부동산 신탁회사인 아시아신탁㈜에 따르면 김 전 원장은 지난 2007년 7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이 회사의 사외이사로 재직했다. 당시 김 전 원장의 부인이 회사의 지분 4%(4억원)를 보유한 소액주주로 참여했으며, 김 전 원장의 취임 직후 매각했다.
이 회사는 김 전 원장의 재무부 후배 출신인 이영회 전 아시아개발은행(ADB) 사무총장이 회장을 맡고 있으며 금감원 직원 출신의 강성범 부산저축은행 사외이사가 이 회사 상근감사위원으로, 김종신 전 감사원 감사위원이 사외이사로 재직 중이다.
아시아신탁은 지난해 6월 부산저축은행의 주식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약 91억원을 투자했다. 이후 지난해 9월과 12월 26억원과 21억원씩 투자금을 회수했고, 나머지 44억원은 지난 2월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돼 회수하지 못하고 결손 처리했다.
이와 관련해 아시아신탁은 “당시 부산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9.4%로 공시된 데다 삼성장학재단과 포스텍이 1천억원을 유상증자했고, 자산관리공사가 부실채권을 매입하면 재무구조가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보여 이사회 의결을 거쳐 투자했던 것”이라며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부탁을 받은 김 전 원장의 압력으로 투자가 이뤄졌다는 의혹을 일축했다.
아시아신탁은 “투자할 당시 투자금의 절반은 6개월 안에, 나머지 절반은 1년 안에 회수하기로 약속하고 유상증자에 참여해 약속대로 두 차례에 걸쳐 45억원을 회수한 것”이라며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는 바람에 나머지 44억원은 회수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의 강성범 감사위원이 부산저축은행 사외이사를 지낸 것에 대해서도 “유상증자에 참여한 이후 주주로서 부산저축은행의 재무건전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취임했다가 영업정지된 지난 2월 사임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현직 금감원장이 몸담았던 회사가 위기설이 나돌던 부산저축은행에 투자하게 된 경위와 이후 투자금 절반을 회수한 배경이 여전히 석연치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는 이에 대한 김 전 원장의 해명을 들으려고 여러 차례 전화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연합뉴스
해당사는 그러나 김종창 전 원장이 지금까지 회사 경영에 관여한 사실이 전혀 없으며,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투자도 안전할 것으로 믿고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이뤄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금감원과 부동산 신탁회사인 아시아신탁㈜에 따르면 김 전 원장은 지난 2007년 7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이 회사의 사외이사로 재직했다. 당시 김 전 원장의 부인이 회사의 지분 4%(4억원)를 보유한 소액주주로 참여했으며, 김 전 원장의 취임 직후 매각했다.
이 회사는 김 전 원장의 재무부 후배 출신인 이영회 전 아시아개발은행(ADB) 사무총장이 회장을 맡고 있으며 금감원 직원 출신의 강성범 부산저축은행 사외이사가 이 회사 상근감사위원으로, 김종신 전 감사원 감사위원이 사외이사로 재직 중이다.
아시아신탁은 지난해 6월 부산저축은행의 주식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약 91억원을 투자했다. 이후 지난해 9월과 12월 26억원과 21억원씩 투자금을 회수했고, 나머지 44억원은 지난 2월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돼 회수하지 못하고 결손 처리했다.
이와 관련해 아시아신탁은 “당시 부산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9.4%로 공시된 데다 삼성장학재단과 포스텍이 1천억원을 유상증자했고, 자산관리공사가 부실채권을 매입하면 재무구조가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보여 이사회 의결을 거쳐 투자했던 것”이라며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부탁을 받은 김 전 원장의 압력으로 투자가 이뤄졌다는 의혹을 일축했다.
아시아신탁은 “투자할 당시 투자금의 절반은 6개월 안에, 나머지 절반은 1년 안에 회수하기로 약속하고 유상증자에 참여해 약속대로 두 차례에 걸쳐 45억원을 회수한 것”이라며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는 바람에 나머지 44억원은 회수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의 강성범 감사위원이 부산저축은행 사외이사를 지낸 것에 대해서도 “유상증자에 참여한 이후 주주로서 부산저축은행의 재무건전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취임했다가 영업정지된 지난 2월 사임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현직 금감원장이 몸담았던 회사가 위기설이 나돌던 부산저축은행에 투자하게 된 경위와 이후 투자금 절반을 회수한 배경이 여전히 석연치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는 이에 대한 김 전 원장의 해명을 들으려고 여러 차례 전화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