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률 5년째 내리막…경제성장 걸림돌

저축률 5년째 내리막…경제성장 걸림돌

입력 2010-05-23 00:00
수정 2010-05-23 11: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이 5년째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경제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민 소득 정체와 저축에 대한 관심 저하로 총저축률은 지난해 기준 30.0%로 26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상태다.

 총저축률 하락은 기업의 투자 여력이 줄어들고 가계 건전성도 그만큼 나빠졌다는 것으로 경제성장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총저축률 20%대 우려..21년만에 10%P 하락총저축률은 1980년대 들어서면서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으나 1988년 40.4%로 정점을 찍은 뒤로는 줄곧 내리막을 타고 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천826달러였던 1981년 총저축률은 24.3%로 바닥을 이룬 뒤 1988년까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7년 만에 무려 16.1%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같은 기간 1인당 국민총소득이 1천826달러에서 4천548달러로 150% 급등해 소득 증가세가 지출 증가세를 크게 앞지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하지만,국민소득은 1988년 이후 외환위기 전까지 꾸준히 늘었지만,총저축률은 완만한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총저축률은 1989~1991년에는 37%대,1992~1995년 36%대,1996~1999년 34%대를 형성하다가 2000년에는 33.0%를 기록했으며 2002년에는 30.5%까지 내려섰다.

 이후 2003년 31.9%,2004년 34.0% 등으로 잠시 오름세를 보이다가 2005년 32.1%에 이어 2006년 30.8%로 내려선 이후 줄곧 30% 선에 머물렀다.

 특히 최근 3년간 총저축률은 2007년 30.8%,2008년 30.5%,2009년 30.0% 등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20%대로 주저앉을 시기가 멀지 않았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선진국과 견주면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한국의 총저축률 30.0%는 국민소득이 2만달러였을 당시 미국 16.8%,영국 16.1~16.2%,프랑스 20.3~20.9%,독일 23.3%보다 높다.

 ◇“투자여력 감소 우려..부동산.교육문제 타개해야”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저축률 하락이 투자 여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박덕배 연구위원은 총저축률 가운데 가계 저축률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위원은 “총저축률이 하락세를 보이는 것은 기본적으로 총저축률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가계저축률이 떨어지는 것에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며 “총저축률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 여력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보험연구원의 유경원 연구위원도 “한국의 개인저축률 급락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도 현격한 수준이며 개인저축률의 하락 속도도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가계저축률이 떨어지면서 금융자산 보유량 역시 감소해 현 세대의 노후 대비 자산이 부족해지고,실업 등 경제적인 충격 요소에 가계가 더욱 취약해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저(低)저축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고 교육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 “소비를 구조조정하기보다는 우리 가계의 금융저축을 제약하는 인적자본 및 실물자산에 대한 지나친 투자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