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할 점
“지금은 2% 부족하지만 발전 가능성은 충분합니다.”전문가들은 전통시장 상품권을 전통시장과 소비자(국민)를 연계해 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전통시장 상품권이 자리를 잡으려면 백화점·구두·문화상품권 등에 비해 턱없이 낮은 인지도를 높이는 게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김유오 시장경영진흥원 상권개발연구실장은 1999년 첫 발행 이후 11년의 짧지 않은 역사에도 전통시장 상품권이 정착하지 못한 이유로 세 가지를 들었다. 상품권 구입의 어려움, 즉 접근성 결여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 상인·소비자의 인식 부족 등이다.
같은 도내에서조차 사용할 수 없는 상품권이 있고, 80%를 써도 잔액을 반환받는 것이 쉽지 않아 소비자가 굳이 상품권을 구입할 마음이 들지 않게 했다. 상인 입장에서는 상품권 유통에 따른 세원 노출 우려와 현금 교환 불편 등이 있다 보니 마뜩잖다.
김 실장은 “온누리 상품권이 나오기 전까지 각 지자체마다 전통시장 상품권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면서 “동네에서만 활용 가능한 상품권은 도입 취지와 달리 선거나 홍보 등의 수단으로 전락하는 등 이상한 형태가 됐다.”고 지적했다.
온누리 상품권 발행 이후 개인이 상품권을 구입하는 등 변화의 모습이 감지되긴 하지만 여전히 전통시장 상품권은 공공기관과 대기업들의 단체 구입이 많아 사용 경험자가 많지 않다.
석종훈 대전상인연합회장은 “잘되는 시장을 보면 상인회가 나서서 가맹점포를 늘리고 상인 교육 등을 통해 변화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밖에 상품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중소기업청과 기초지자체 등으로 나뉘어 있는 상품권 발행기관을 통합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0-02-09 1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