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뉴스] “장수 비결은 적게 먹는 것보다 ‘공복 시간’ 길어야”

[나우뉴스] “장수 비결은 적게 먹는 것보다 ‘공복 시간’ 길어야”

입력 2021-10-21 16:11
수정 2021-10-21 16: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단지 적게 먹는 소식보다 먹는 횟수를 줄여 공복 시간을 늘리는 방식이 건강을 더 이롭게 해 오래 사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더들리 래밍 의대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쥐를 대상으로 하루 섭취 열량과 먹이 투여 횟수를 조절한 결과, 저열량의 먹이를 하루 한 번 섭취해 공복 시간이 긴 쥐는 같은 저열량의 먹이를 온종일 먹어 공복 시간이 적은 쥐보다 오래 산다는 점을 알아냈다.

이는 먹이를 하루 한 번 먹어도 신진 대사가 개선된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쥐를 여러 그룹으로 나눠 실험 연구를 진행했다. 각 그룹에는 서로 다른 양과 횟수의 먹이를 투여하고 먹이를 정상적으로 제한 없이 먹을 수 있는 대조군과 비교했다.

이 중 두 그룹은 하루 섭취 열량이 평소보다 30% 낮도록 먹이를 조절했다. 한 그룹에는 이 같은 저열량의 먹이를 시간 제한 없이 온종일 먹고 싶은 만큼 먹도록 했고, 나머지 그룹에는 저열량의 먹이를 먹게 했지만 투여 횟수를 하루 한 번으로 제한해 공복 시간을 21시간 동안 유지하게 했다.

그 결과, 하루 21시간 공복 시간을 유지해야만 했던 쥐는 대조군의 쥐보다 반 년 정도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열량의 먹이를 온종일 먹은 쥐는 대조군의 쥐보다 좀 더 일찍 숨졌다. 섭취 열량을 줄였는데도 말이다.

이 점에 대해 래밍 박사는 “열량을 제한해 효과를 보려면 공복 시간을 두는 게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그룹에는 대조군의 쥐와 같은 양의 먹이를 3시간 동안 먹이고 그후 하루 동안 공복 시간을 두게 했다. 섭취 열량을 줄이지 않고 공복 시간을 둔 이 그룹의 쥐는 섭취 열량을 제한하면서 공복 시간을 둔 집단의 쥐와 비슷한 건강 수준을 보였다. 다만 이 경우 생존 기간에 대해서는 비교를 하지 않아 수명 차이는 알 수 없었다.

이에 대해 래밍 박사는 “(두 그룹 모두) 혈당 조절과 신진 대사 적응력 만큼은 뛰어났다”고 평가했다.

그렇다면 사람의 경우는 어떨까. 래밍 박사는 사람들이 음식 섭취를 하루 중 4~8시간 이내로 제한해 공복 시간을 늘리는 것에 대해 단기적인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면서도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하게 알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메타볼리즘’(Nature Metabolism) 최신호(10월 18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