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비(외언내언)

외식비(외언내언)

이세기 기자 기자
입력 1997-12-05 00:00
수정 1997-12-0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식이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으면서 음식종류와 식당의 형태도 다양하게 개발되었다.97년 현재 한국요식업중앙회에 등록된 식당수는 40만1천31개.95년의 31만1천개에서 9만개 업소가 늘어난 셈이다.우리는 세사람만 모여도 갈비가든에 가고 불갈비 냉면에다 사람숫자의 두배나 세배를 시켜 먹는때가 많다.너무 많이 시켜놓고 남기는 바람에 음식쓰레기가 매년 8조원이 넘게 쏟아지는 것도 이런 낭비적 풍조때문이다.일요일에도 걸핏하면 중국음식점에 자장면이나 탕수육을 시켜먹고 요즘의 주부들은 가장이 일찍 퇴근하는 날은 아예 외식하는 날로 정하는 예가 흔하다.또 규격화되고 서비스가 미흡한 패스트푸드 레스토랑보다는 손님으로서 극진한 대접을 받을수 있는 스페셜 레스토랑이나 자신의 취향에 맞는 분위기를 중시한다.남들이 가본 유명업소에 가보지 못한것을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생각할 정도다.유명한 음식점에 가기 위해 값이 비싸거나 거리가 먼 것에 구애되지 않는건 물론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도시근로자 가구의 가계수지’중 소비지출내역을 보면 외식비지출이 16만5천원으로 지난해보다 17% 늘어났고 휘발유값 인상 등의 영향으로 자동차 유지비도 2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최근 3년간 외식비 지출증가율은 연평균 18.1%로 소득이 월등히 많은 일본의 1.35배나 된다.

우리는 먹어도 너무 많이 먹고 비싼 음식만 먹고 아무때나 자동차를 몰고 다니면서 흥청거리는 경향이 심했다.그것이 바로 우리 경제를 위태롭게 하는 요인인줄 몰랐을 때의 얘기다.60년대 보릿고개를 겪던 시절에는 음식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그러나 물질적으로 풍요를 느끼게 된 최근들어 양보다는 질과 맛을 추구하는 자유선택적 분위기가 고조되어 갔다.

연말과 함께 여러가지 모임과 회식자리가 기다리고 있다.하지만 외환위기로 신음하는 우리 경제에 어떤 자세가 도움이 될지 생각해 봐야겠다.지나친 ‘먹자판’의 외식집착보다 가족을 위해 따뜻한 밥 한그릇이라도 사랑이 담긴 손길로 준비하는 알뜰한 주부의 마음가짐이 아쉬워지는 시기다.<이세기 사빈논설위원>

1997-12-0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