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박물관,경기 연천 원당리서/길이 3.2가로 3두께 1㎝ 차돌로 만들어/지표조사선 주먹도끼 등 전기 구석기 유물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약 2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인 자라모양의 돌송곳이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2리 임진강가 유적에서 발굴되었다.또 찍개 발굴과 함께 지표조사에서는 주먹도끼를 찾아내는 등 전기 구석기시대 유물도 상당량 수습했다.이에따라 학계는 원당리 유적을 중요 구석기유적으로 주목하는 가운데 우리나라 구석기 표준유적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보았다.
건국대박물관(관장 최무장)팀이 지난 7월20일 발굴에 들어간 이 유적규모는 2백12㎡.문제의 자라모양 송곳은 발굴팀이 판 3개의 구덩이 가운데 후기 구석기지층이 있는 구덩이에서 나왔다..길이 3.2㎝,가로 3㎝,두께 1㎝ 크기의 자라모양 송곳은 차돌로 만든 매우 정교한 소형 돌연모.자라 몸둥이에 해당하는 부분이 손잡이고,자라 머리 부분이 송곳으로 되어있다.
이 자라모양 송곳은 당시 구석기인들이 사냥한 짐승가죽에 구멍을 낼 때 사용한연모로 추정했다.그러니까 짐승가죽을 끈으로 꿰매기 전에 먼저 구멍을 뚫는데 사용한 작은 송곳이라 할 수 있다.송곳 끝은 약간 마모되었는데,이는 실제 사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이 유물은 다루기가 퍽 어려운 차돌을 가지고 만들었다는 점에서 뛰어난 석기로 평가되고 있다.
유럽지역 후기 구석기 유적에서는 더러 출토된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에서 자라모양 송곳이 나왔다는 발굴보고는 아직 없다.아주 작은 돌연모인 자라모양 송곳은 여간 발달한 석기제작기술이 뒤따르지 않고는 만들어 낼 수 없다는 것이 발굴팀의 견해다.그래서 고고학계는 이번 출토유물에 주목하면서 한반도 구석기 문화가 상당 수준에 머물렀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
그리고 원당리 유적에서는 물론 지표에서 수집한 유물이기는 하나 20만년전 전기 구석기시대의 주먹도끼가 발견되었다.주먹도끼는 전기 구석기시대 돌연모의 진수로,당시 가장 발달한 다용도의 만능석기.
현재 지표로부터 5m를 파 내려간 전기 구석기지층에서 주먹도끼로 발전하는 과정에 나타난 돌연모 찍개를 찾아냈다.따라서 이 지층에서 주먹도끼도 곧 발굴될 것으로 발굴팀은 기대했다.
이번 원당리 유적발굴을 계기로 한탄강에서 임진강 하류를 잇는 하안단구지대가 구석기 유적의 보고임을 다시 입증하게 되었다.한탄강과 임진강 유역에는 원당리유적 말고도 연천군 연천읍 전곡리와 남계리,연천군 장남면 주월리,파주군 파평면 금파리 등에 구석기 유적이 널려있다.
유적발굴현장을 방문한 서울대 임효재 교수(고고학)는 『구석기시대 전·후기가 뚜렷한 지층에서 시대 하향에 따라 다른 형태로 발전한 유물이 나와 발굴을 더 진척시키면 표준유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임교수는 『후기 구석기시대의 자라모양 송곳은 당시 기술집약형 돌연모로 가치 높은 유물』이라고 덧붙였다.<연천=황규호 기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약 2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인 자라모양의 돌송곳이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2리 임진강가 유적에서 발굴되었다.또 찍개 발굴과 함께 지표조사에서는 주먹도끼를 찾아내는 등 전기 구석기시대 유물도 상당량 수습했다.이에따라 학계는 원당리 유적을 중요 구석기유적으로 주목하는 가운데 우리나라 구석기 표준유적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보았다.
건국대박물관(관장 최무장)팀이 지난 7월20일 발굴에 들어간 이 유적규모는 2백12㎡.문제의 자라모양 송곳은 발굴팀이 판 3개의 구덩이 가운데 후기 구석기지층이 있는 구덩이에서 나왔다..길이 3.2㎝,가로 3㎝,두께 1㎝ 크기의 자라모양 송곳은 차돌로 만든 매우 정교한 소형 돌연모.자라 몸둥이에 해당하는 부분이 손잡이고,자라 머리 부분이 송곳으로 되어있다.
이 자라모양 송곳은 당시 구석기인들이 사냥한 짐승가죽에 구멍을 낼 때 사용한연모로 추정했다.그러니까 짐승가죽을 끈으로 꿰매기 전에 먼저 구멍을 뚫는데 사용한 작은 송곳이라 할 수 있다.송곳 끝은 약간 마모되었는데,이는 실제 사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이 유물은 다루기가 퍽 어려운 차돌을 가지고 만들었다는 점에서 뛰어난 석기로 평가되고 있다.
유럽지역 후기 구석기 유적에서는 더러 출토된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에서 자라모양 송곳이 나왔다는 발굴보고는 아직 없다.아주 작은 돌연모인 자라모양 송곳은 여간 발달한 석기제작기술이 뒤따르지 않고는 만들어 낼 수 없다는 것이 발굴팀의 견해다.그래서 고고학계는 이번 출토유물에 주목하면서 한반도 구석기 문화가 상당 수준에 머물렀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
그리고 원당리 유적에서는 물론 지표에서 수집한 유물이기는 하나 20만년전 전기 구석기시대의 주먹도끼가 발견되었다.주먹도끼는 전기 구석기시대 돌연모의 진수로,당시 가장 발달한 다용도의 만능석기.
현재 지표로부터 5m를 파 내려간 전기 구석기지층에서 주먹도끼로 발전하는 과정에 나타난 돌연모 찍개를 찾아냈다.따라서 이 지층에서 주먹도끼도 곧 발굴될 것으로 발굴팀은 기대했다.
이번 원당리 유적발굴을 계기로 한탄강에서 임진강 하류를 잇는 하안단구지대가 구석기 유적의 보고임을 다시 입증하게 되었다.한탄강과 임진강 유역에는 원당리유적 말고도 연천군 연천읍 전곡리와 남계리,연천군 장남면 주월리,파주군 파평면 금파리 등에 구석기 유적이 널려있다.
유적발굴현장을 방문한 서울대 임효재 교수(고고학)는 『구석기시대 전·후기가 뚜렷한 지층에서 시대 하향에 따라 다른 형태로 발전한 유물이 나와 발굴을 더 진척시키면 표준유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임교수는 『후기 구석기시대의 자라모양 송곳은 당시 기술집약형 돌연모로 가치 높은 유물』이라고 덧붙였다.<연천=황규호 기자>
1996-08-18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