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축산 관계자 해외여행 늘었는데 ‘입국 후 농장 출입 자제’ 규정 미흡

축산 관계자 해외여행 늘었는데 ‘입국 후 농장 출입 자제’ 규정 미흡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2-14 22:32
업데이트 2017-02-14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년째 구제역 발생 원인 못 밝혀

최근 3년간 매년 구제역이 발생했는데도 방역당국은 발생 원인을 끝내 밝히지 못했다. 유입 경로를 모르니 부실한 방역대책이 반복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국가 간 인적 교류와 물자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바이러스 감염 경로 추적이 어려워졌다”는 게 정부의 해명이다. 이달 초 잇따라 발생한 구제역 역시 해외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으로 짐작할 뿐 정확한 발생 원인을 밝히지 못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세 차례 구제역이 발생했지만 유입 경로는 오리무중이다. 2014년 7월 경북 의성과 고령, 경남 합천의 돼지 농가 3곳에서 O형 구제역이 발생했고, 같은 해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경기, 충남 등 7개 광역 시·도에서 185건의 구제역이 발생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두 차례 구제역 바이러스가 중국, 러시아, 북한 등으로부터 인적·물적 교류 과정을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하면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당시 농장주와 가족, 외국인 종사자가 캄보디아, 베트남 등 O형 구제역이 발생한 나라를 방문한 사례가 있었지만 역학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

지난해 1~3월 충남 논산 등 2개 시·도에서 발생한 21건의 구제역은 국내에 남아 있던 바이러스에 의한 발병으로 짐작됐지만 최초 감염 농장을 찾지 못했다. 당국은 여전히 조사가 진행하고 있다고 했지만 사실상 역학 관계를 밝히는 데 실패한 것이다. 검역본부는 “해외여행이 늘고 외국인 근로자가 증가하면서 구제역 원인 조사가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가축 농장주와 그 가족, 가축시장·도축장 종사자 등 축산 관계자의 출입국 기록을 보면 2012년 5만 302명이 해외를 다녀왔는데 지난해에는 8만 9329명으로 77.6%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축산농가에 고용된 외국인 근로자 수는 6800명으로 네팔(3239명), 캄보디아(1590명), 베트남(791명) 등 대부분 구제역 상시 발생국인 동남아 출신이다.

해외여행을 다녀온 축산 관계자는 공항에서 소독하고 5일간 농장 출입을 하지 않아야 하지만 법으로 금지된 강제 사항은 아니다. 정부는 축산 관계자 가운데 일부를 고위험군(1400명)으로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구제역 발생 농장주 중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사람은 없어 검역망이 허술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2-15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