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에 왜 패했나
한국축구가 남미의 강호 아르헨티나와 A매치에서 처음 격돌한 것은 1986년 6월 멕시코월드컵 A조 조별리그 1차전. 당시 한국은 호르헤 발다노에게 2골, 오스카 루게리에게 1골을 거푸 내주며 0-3으로 끌려다니다 후반 28분 박창선의 사상 첫 월드컵 골로 영패를 모면했다. 두 팀은 2003년 6월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친선 경기를 통해 다시 만났다. 전반 43분 하비에르 사비올라에게 결승골을 내준 한국은 0-1로 또 무릎을 꿇어야 했다.펄펄나는 메시, 무너진 한국
17일 요하네스버그 사커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남아공월드컵 조별리그 B조 한국-아르헨티나 2차전 경기 도중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왼쪽)가 수비 도중 뒤로 고꾸라진 한국의 이영표 옆에서 소리를 지르고 있다.
요하네스버그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17일 요하네스버그 사커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남아공월드컵 조별리그 B조 한국-아르헨티나 2차전 경기 도중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왼쪽)가 수비 도중 뒤로 고꾸라진 한국의 이영표 옆에서 소리를 지르고 있다.
요하네스버그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2010년 6월17일 요하네스버그 사커시티 스타디움. 남아공월드컵 B조 2차전에서 한국과 아르헨티나는 사상 세 번째 대결을 치렀다.
그동안 한국이 남미를 상대로 얻었던 교훈은 미꾸라지처럼 개인기가 빼어난 상대 선수들을 자유롭게 놔둬서는 안 된다는 것. 아르헨티나를 상대로는 특히 그래야 했다. 중원에서부터 강한 압박으로 패스를 끊어내 전방으로 공이 투입되지 않게 해야 했다. 하지만 개인기가 뒤처졌는지, 1차전 승리로 마음이 풀어져서인지 한국은 아르헨티나 선수들을 번번이 놓쳤고 공간을 내줬다. 성공률이 낮은 공격지향적 전술보다 철저히 방어적인 경기를 펼치는 것이 낫다는 이번 대회의 트렌드를 새삼 깨닫는 경기였다.
노장 플레이메이커 후안 베론(에스투디안데스)이 부상을 당해 막시 로드리게스(리버풀)가 대신 선발 출장했음에도 아르헨티나는 흔들림이 없었다. 외려 더 촘촘하고 매끄러웠다. 특히 ‘마라도나의 재림’ 리오넬 메시(바르셀로나)를 철저히 봉쇄하지 못했다. 메시는 부상으로 결장한 베론의 공백을 완벽히 메우며 아르헨티나의 공격을 주도했다. 또 공을 잡았을 때 2명 이상의 한국 수비수를 끌고 다니며 이과인에게 공간을 열어줬다. 공 점유율은 30대70으로 완전히 밀렸다.
반면 한국은 미드필드를 두껍게 강화하며 공세를 차단한 뒤 역습을 감행하지 못하고 자기 진영을 지키기에만 급급했다. 습관적으로 자꾸 뒤로 물러났다. 한국의 공수를 조율하는 ‘캡틴’ 박지성은 아르헨티나 미드필더들에게 철저히 막혔다.
세트피스 상황에서 상대 전술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 점도 패인이 됐다. 박지성은 “전반 초반에 세트플레이 상황에서 너무 쉽게 골을 내준 게 패인”이라고 했다. 한국의 중앙과 측면을 휘젓던 메시가 전반 17분 한국 문전을 향해 올린 프리킥이 박주영(AS모나코)의 오른쪽 무릎 부위에 맞고 자책골로 연결됐다. 한국 선수로는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기록한 두 번째 자책골. 앞서 1986년 멕시코 대회 이탈리아와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조광래 경남FC 감독이 자책골을 기록한 바 있다.
역습 상황에서 차단당한 뒤 수비 태세를 갖추는 속도도 늦었다. 허정무 감독은 “공격적인 자세에서 수비로 넘어올 때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 차라리 북한처럼 수비수를 늘리고 뒤로 물리고 상대 공격수들을 정면에 두고 막아내는 수비지향적 전술을 쓰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는 아쉬움이 남았다. 상대의 빠른 경기 템포를 늦춰 분위기를 바꿀 수 있었기 때문.
그나마 다행스러운 점은 두 골을 내준 뒤에도 경기를 포기하지 않고 아르헨티나에 반격을 가했다는 점. 한국은 전반 종료 직전 이청용(볼턴)이 추격골을 터뜨려 사기가 올라갔고, 후반 들어 공격을 주도하며 몇 차례 아슬아슬한 장면을 연출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6-1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