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외교 인력 절실 국제심판도 양성해야
놓친 물고기가 커 보이는 법이다. 2010년 2월25일은 월척을 눈앞에서 놓친 날이었다.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결승에서 가장 먼저 골인하고도 뒤따라 들어오던 중국에 금메달을 뺏겼다. 어린 선수들은 석연찮은 판정으로 실격했다.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 때 남자 1500m 결승에서 당한 김동성(30) 이래 또 한번의 좌절이었다. 그때도 그랬듯 경기를 맡았던 주심이 곧장 제외돼 오심 주장은 그럴 만했다는 점도 인정받은 셈이다. 이번 경기에서 먼저 한국의 반칙(?)을 꺼낸 이는 중국인 부심이었다. 중국 선수를 손으로 쳤다는 주장이었다. 중국 선수는 한국을 따라잡으려고 인코스로 들어서던 참이었다. 결국 그 말을 주심이 받아들인 것이다.
●선수 땀방울 ‘억울한 눈물’ 안되려면
대한민국이 이번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알찬 열매를 맺었지만 그늘에 가린 게 있다. ‘풀뿌리’ 외교에서 한참 처졌다는 사실이다. 평소 실무에서 외교력을 발휘했다면 이런 불이익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흔히 스포츠 외교력이라고 하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나 정부가 나서는 일종의 영향력을 떠올리지만 이는 대회 유치와 같은 높은 차원의 정책 결정을 두고 하는 추상적인 일들이다.
한서대 구창모(스포츠사회학) 교수는 “국제축구연맹(FIFA) 수석부회장을 둔 한국이 대회 때 이따금 억울한 판정을 받는 것처럼, 국제심판 양성도 매우 중요한 스포츠 외교력의 잣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꼭 우리에게 유리한 결정을 내리지는 않더라도 존재감 하나만으로도 이번과 같이 유독 불리한 입장을 피할 바탕은 마련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국제경기단체나 기구 등에 진출하는 것도 중요한 풀뿌리 외교력 강화 방안의 하나다. 구 교수는 “현재 IOC 산하 국제기구에 한국인 임원·간부가 전무하다시피 한 실정은 답답하다.”고 지적했다. 판정 기준을 과학화하는 데 참여해 불이익을 줄일 수 있을뿐더러, 인간이 하는 일이라 주관적인 입김도 작용하는 판정에서 손해를 볼 여지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판정 과학화 참여로 불이익 줄여야
하지만 이건희 전 삼성 회장을 사면하면서까지 IOC 위원으로 복귀시킨 ‘상부’의 생각과 달리 현실은 어둡다. 대한체육회(KOC)가 국내 대학에 위탁 운영하는 스포츠 외교 전문가 교육과정과 2007년 첫발을 뗀 체육인재육성재단의 국제업무 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게걸음을 하고 있어서다.
반짝 관심을 보였다가 금세 시들어 버린다면 ‘또 다른 김동성’이 계속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실은 구 교수가 “맨땅에 헤딩하는 심정”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체육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저조하다.
거창한 구호만 외칠 게 아니라 국제기구와 체계적인 연계 체제를 갖춰 절실할 때 눈에 보이지 않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라는 부처 이름에 ‘체육’ 두 글자를 넣어야 한다고 공청회 등을 통해 끊임없이 제기해 겨우 받아낸 사례를 곁들였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03-0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