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용병’ 올림픽

러시아 ‘용병’ 올림픽

입력 2014-02-18 00:00
업데이트 2014-02-18 0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계올림픽 개최국인 러시아 내부에서조차 ‘올림픽 순혈주의’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AFP통신 등은 17일 러시아에서 감지되는 이 같은 현상을 소개했다. 이날 오후 5시까지 러시아는 금 4개, 은 7개, 동메달 5개를 획득했다. 금메달 3개로 종합 11위에 그쳤던 지난 2010년 밴쿠버대회와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한 성적이다.

그런데 4개의 금메달 가운데 무려 3개가 귀화 선수들이 합작한 것이다. 피겨스케이팅 페어와 팀에서 우승한 타티야나 볼로소자르(여)는 2010년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로 귀화한 선수다. 2011년 한국에서 러시아로 국적을 바꾼 안현수는 남자 쇼트트랙 1000m에서 우승해 러시아에 쇼트트랙 사상 첫 금메달을 선사했다. 안현수에 이어 2위로 골인, 첫 은메달을 수집한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예프도 2006년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로 국적을 옮긴 선수다.

AFP통신은 귀화 선수들을 프랑스 외인부대 ‘레종 에트랑제’(Legion Etrangere)에 빗대기도 했다. 레종 에트랑제는 외국인들의 지원으로 구성되는 정규 육군부대로 프랑스 군인 대신 세계 분쟁 지역에 투입된다. 실제로 러시아에서는 귀화한 선수들을 외인부대원의 의미를 지닌 ‘레지오네리’(legionari)로 부르는 이들이 적지 않다. AFP통신은 러시아가 밴쿠버대회 당시 종합 11위에 그치자 선수 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러시아의 소비에트스카이 스포츠 데일리는 “우리 선수는 다들 어디 갔느냐”며 “승리를 정말로 기뻐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보도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02-18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