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국 한국전통무예연구소장
사거리 145m 고정 말고 다양화해야대회에는 흰 옷보다 한복·갑옷 어울려
최형국 한국전통무예연구소장
전통무예를 주제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은 국내 첫 연구자이자 자신 또한 무예24기를 수련해 온 무도인인 최형국 한국전통무예연구소장은 전통 활쏘기야말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생활체육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힘이 센 사람이나 약한 사람 누구나 자기에게 맞는 활로 배울 수 있고 몸과 마음을 함께 수련할 수 있다”면서 “조선시대에도 남성뿐 아니라 여성들도 즐긴, 말 그대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겼던 생활체육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 소장은 드라마나 영화에서 전통 활쏘기를 잘못 묘사하는 걸 바로잡는 데 열심인 한편으로 국궁 대중화를 위한 과감한 제언도 아끼지 않았다. 최 소장은 “요즘은 그래도 검지와 중지를 이용한 유럽식 활쏘기 장면은 많이 사라졌다”면서도 “우리 전통 활쏘기는 엄지에 깍지를 끼는 게 특징인데 거기까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과녁까지 거리를 145m 하나만 고정해 놓는 것부터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양궁처럼 30m, 50m, 70m 등 거리를 차별화할 수 있다”면서 “조상들이 145m만 쏜 것도 아니다. 조선시대에도 근사, 중사, 원사 등 다양한 활쏘기 방식이 존재했다”고 말했다. 이어 “표적도 고정식뿐 아니라 이동 표적을 사용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클레이사격 방식도 차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최 소장은 “노인들만의 생활체육에서 탈피해 과감한 변화를 모색하려면 대한궁도협회부터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궁대회를 보면 선수 복장을 하얀색 칼라 있는 옷으로만 제한했는데 모르는 사람이 보면 윔블던 테니스대회로 착각하기 딱 좋다”면서 “차라리 한복이나 갑옷을 입는 방식이 더 좋겠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통은 제대로 살리고 거기에 젊은층의 감성을 입힐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한국을 대표하는 생활체육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9-11-29 3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