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촌 문화재 지정의 조건
‘뭔가 정직하지 않거나, 말하고 싶은 바를 에둘러 말하거나.’그런데 말이다. 체육회나 이 회장 모두 조금은 비겁한 자세로 일관하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유명 선수들의 향수 짙은 멘트에 숨는 태도는 차라리 순진하다고 해야 할까. 선수촌 시설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를 짐짓 외면하고 논의를 출발하니까 많은 이들을 설복하는 데 한계를 만날 수밖에 없다.
일제가 조선의 궁궐이나 민족의 정기가 서린 곳을 짓밟은 것에 견줘 조금도 모자람 없이 박정희 정권은 1966년 왕릉이 즐비한 태릉에 선수촌 시설을 지었다. 대통령의 지시 하나로 밀어붙이듯 훼손했다. 국가 주도 체육정책의 모순이 잉태한 것도 그 시점이었다. 그곳에서 훈련에 몰두해 국위를 선양하고 ‘스포츠 코리아’를 알려 온 이들의 투혼과 별개로 엄연히 그 탄생 과정은 권력의 독주와 다름없다. 민족 스스로 민족 유산을 훼손한,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체육회의 보존 목소리에 설득력을 더하려면 이런 국가 주도 정책에 편승해 성장한 체육회와 엘리트 체육의 반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생활체육으로 중심을 옮기는 시점에 과거와 미래를 잇는 어떤 노력을 이곳에서 해보이겠다는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체육회는 2015년 7월 태릉선수촌의 승리관, 월계관, 챔피언하우스, 행정동, 개선관, 올림픽의집, 영광의집 등 건물 7동과 운동장 등은 지정문화재로 보존하고 오륜관, 실내빙상장, 국제스케이트장 등은 철거하겠다고 문화재청에 심사를 신청했다. 지난해 3월 심사가 보류되자 지난 7월 보완한 뒤 심사 일정을 기다리고 있다. 꼭 지켜야 할 숫자를 염두에 두고 일단 숫자를 많이 불렀다는 느낌마저 안긴다.
하지만 이곳을 찾는 이들이 왜 왕릉 안에 체육시설이 여전히 있는지 궁금해하면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그저 무작정 지은 지 50년 넘은 건물이라 남겼다는 설명만으로 갸웃거리는 외국인들을 납득시킬 수 있을지 궁금하다. 손에 쥔 것을 놓지 않겠다고 논의에 뛰어들면 다 놓치기 십상이다. 안타깝게도 냉엄한 현실이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7-09-29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