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믹스 1개 무게 판독기 몸에 부착
기록실·전광판에 실시간 기록 전송
평창선 특수 카메라 두 대로 정밀 판독
결승선 정확성 높일 기술 1년 후 공개
한국의 동계올림픽 주요 메달밭 중 하나인 스피드스케이팅(이하 빙속)은 빙판 위에서 펼쳐지는 빙상종목 가운데서도 대표적이고 전통적인 기록 경기다. 0.001초가 메달 색깔을 바꿀 수 있다. 특히 단거리 종목인 500m에서는 스케이트날 반 개 차이로 희비가 엇갈릴 수도 있다.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500m 금메달리스트이자 남자 중·단거리 간판 선수인 모태범(28)은 2013년 12월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월드컵 4차 대회 1000m에서 1분09초50으로 우승했다. 당시 2위 미첼 뮐더(28·네덜란드)의 기록은 1분09초52로 모태범이 0.02초 앞섰다. 이처럼 찰나를 다투는 빙속 경기에서 기록 측정은 어떻게 이뤄질까.
빙속에선 선수의 스케이트 앞쪽 날 끝이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간의 기록을 측정한다. 모태범과 뮐더의 경우 눈 한 번 깜빡하는 순간에 벌어진 일이라 육안으로 하는 판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1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에서는 공식 타임키핑 후원업체인 오메가에서 제작한 두 대의 특수 카메라가 정확한 판독을 돕는다. 한 대는 레이저 광선이 만들어내는 결승선 한쪽 끄트머리에, 또 다른 한 대는 결승선 연장선상에 위치한 기록실에 설치된다. 카메라들은 선수의 결승선 통과 순간을 감지해 기록실의 컴퓨터와 전광판에 무선으로 기록을 전송하게 된다.
이 카메라들은 1초당 2000프레임을 기록하는 고성능 장비로, 판정 시비를 명확히 가려낼 수 있다. 또 단거리 경기의 경우엔 선수들이 거의 동시에 줄줄이 결승선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특수 카메라도 설치될 예정인데, 오메가 측은 이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는 평창대회가 열리는 1년 뒤까지 철저히 비밀에 부치고 있다.
가장 흥미를 끄는 것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라는 발목 장치다. 그냥 지나치기 쉽지만 자세히 보면 선수들의 유니폼 발목 부분이 불룩 솟아 있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일정 구역 외의 통행 제한을 위해 ‘특정’ 범죄자에게 채우는 발찌와도 같은 모양인데, 생김새뿐만 아니라 기능도 엇비슷하다. 항공기의 조종석에도 같은 이름의 장치가 탑재돼 있다. 이는 출발 전 고유 번호를 부여받은 항공기가 자신의 운항 경로와 속도, 고도 등의 온갖 비행정보를 관제탑 레이더에 나타나게 하는 일종의 식별 장치다. 빙판 위에서라는 점이 다를 뿐, 빙속 선수들도 이 두 개의 트랜스폰더를 신체 중 가장 성가시지 않은 두 발목에 각각 차고 경기를 펼친다. 트랜스폰더는 트랙 한쪽에 설치된 판독기로 신호를 전송하고, 판독기는 이 신호를 변환시켜 기록실과 전광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무게는 흔히 ‘커피믹스’로 불리는 스틱형 인스턴트 봉지 커피와 같은 12g이다. 2006년 토리노동계올림픽 직전 오메가가 ISU의 승인을 받아 제작, 사용되기 시작했다.
출발 신호는 화약총 대신 ‘전자 스타팅 건’이 쓰인다. 방아쇠를 당기면 자동으로 출발선 뒤쪽의 스피커에서 총성이 울리고 시간 기록 장치도 이 신호를 동시에 받아 측정을 시작한다. 출발 신호 이후 2초 이내에 한 번 더 방아쇠를 당기면 부정 출발 경보음이 울린다. 전자 스타팅 건은 2012년 런던하계올림픽 육상경기 때 도입됐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기록실·전광판에 실시간 기록 전송
평창선 특수 카메라 두 대로 정밀 판독
결승선 정확성 높일 기술 1년 후 공개
빙속에선 선수의 스케이트 앞쪽 날 끝이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간의 기록을 측정한다. 모태범과 뮐더의 경우 눈 한 번 깜빡하는 순간에 벌어진 일이라 육안으로 하는 판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1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에서는 공식 타임키핑 후원업체인 오메가에서 제작한 두 대의 특수 카메라가 정확한 판독을 돕는다. 한 대는 레이저 광선이 만들어내는 결승선 한쪽 끄트머리에, 또 다른 한 대는 결승선 연장선상에 위치한 기록실에 설치된다. 카메라들은 선수의 결승선 통과 순간을 감지해 기록실의 컴퓨터와 전광판에 무선으로 기록을 전송하게 된다.
이 카메라들은 1초당 2000프레임을 기록하는 고성능 장비로, 판정 시비를 명확히 가려낼 수 있다. 또 단거리 경기의 경우엔 선수들이 거의 동시에 줄줄이 결승선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특수 카메라도 설치될 예정인데, 오메가 측은 이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는 평창대회가 열리는 1년 뒤까지 철저히 비밀에 부치고 있다.
가장 흥미를 끄는 것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라는 발목 장치다. 그냥 지나치기 쉽지만 자세히 보면 선수들의 유니폼 발목 부분이 불룩 솟아 있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일정 구역 외의 통행 제한을 위해 ‘특정’ 범죄자에게 채우는 발찌와도 같은 모양인데, 생김새뿐만 아니라 기능도 엇비슷하다. 항공기의 조종석에도 같은 이름의 장치가 탑재돼 있다. 이는 출발 전 고유 번호를 부여받은 항공기가 자신의 운항 경로와 속도, 고도 등의 온갖 비행정보를 관제탑 레이더에 나타나게 하는 일종의 식별 장치다. 빙판 위에서라는 점이 다를 뿐, 빙속 선수들도 이 두 개의 트랜스폰더를 신체 중 가장 성가시지 않은 두 발목에 각각 차고 경기를 펼친다. 트랜스폰더는 트랙 한쪽에 설치된 판독기로 신호를 전송하고, 판독기는 이 신호를 변환시켜 기록실과 전광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무게는 흔히 ‘커피믹스’로 불리는 스틱형 인스턴트 봉지 커피와 같은 12g이다. 2006년 토리노동계올림픽 직전 오메가가 ISU의 승인을 받아 제작, 사용되기 시작했다.
출발 신호는 화약총 대신 ‘전자 스타팅 건’이 쓰인다. 방아쇠를 당기면 자동으로 출발선 뒤쪽의 스피커에서 총성이 울리고 시간 기록 장치도 이 신호를 동시에 받아 측정을 시작한다. 출발 신호 이후 2초 이내에 한 번 더 방아쇠를 당기면 부정 출발 경보음이 울린다. 전자 스타팅 건은 2012년 런던하계올림픽 육상경기 때 도입됐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7-02-11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