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체육시설 1124곳 신설 손쉽게 이용해 좋지만 지자체 재정 부담 어쩌나

[스포츠 돋보기] 체육시설 1124곳 신설 손쉽게 이용해 좋지만 지자체 재정 부담 어쩌나

입력 2014-05-21 00:00
수정 2014-05-21 0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접근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는 고무적이다. 하지만 과잉 투자가 돼 나중에 지방자치단체들이 운영 비용을 떠안아 재정 압박을 받을 수 있다.”

사회인야구 시설 확충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A씨가 2022년까지 공공 체육시설을 1124곳 신설하겠다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보도자료를 검토한 뒤 이렇게 지적했다.

문체부는 유지곤 한국스포츠개발원(KISS) 책임연구원에 1년 동안 연구 용역을 의뢰한 결과, 1조 2720억원의 기금 등 모두 7조 4687억원을 들여 수원시 면적에 맞먹는 체육시설 105.97㎢을 공급해 국민들이 편의점 가는 것만큼 손쉽게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그런데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들 시설의 건설에만 치중해 있고 운영 비용 지원에 대해선 이렇다 할 언급이 없다.

A씨는 “정부가 체육시설을 지은 뒤 이들에 대한 운영을 도외시한다면 결국은 시설은 무용지물이 되고 말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문트레이너 고용, 시설 유지 및 관리, 헬스 기기 교체 등을 고려하면 많은 어려움이 뒤따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마을에서는 걸어서 10분 안에 간이 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고 읍·면·동에서는 차량으로 10분 이동해 간이 운동장과 소규모 수영장, 다목적 체육관을 활용할 수 있다.

또 시·군·구에는 차량으로 30분 거리에 종합운동장 및 국민체육센터에 닿을 수 있게 된다.

또 하나 눈여겨볼 대목은 2016년까지 구축하는 ‘체육시설 정보제공 누리집’(뉴 스포츠 맵). 누구나 가까운 곳의 체육시설 정보를 검색해 예약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향후 레저시설과 학교 체육시설로 확대한다.

정부는 체육시설을 공급하는 과정에 공공이 83.5%, 민간이 16.5%로 역할을 분담하기로 했다. 종합운동장과 빙상장 등 대규모 시설은 정부가 맡고 체육도장과 당구장, 볼링장 등 영리활동이 가능한 시설은 민간이 주도적으로 공급하도록 할 계획이다.

문체부가 A씨의 지적에 귀를 기울여 보완했으면 한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2014-05-21 2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