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연휴에 뵙는 부모님 건강체크, 이 질문만은 꼭 하세요

설연휴에 뵙는 부모님 건강체크, 이 질문만은 꼭 하세요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1-02-10 14:47
수정 2021-02-13 1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설연휴에 오랜만에 만나는 부모님이 부쩍 나이든 모습을 보는 건 마음이 아플 수밖에 없다. 건강한 노년을 위해서는 부모님 건강을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 코로나19로 직접 만나는게 힘들다면 영상통화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11일 건강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유심히 관찰하고 적절한 질문만 해도 치매, 난청, 전립선 질환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초기 진단과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인들로서는 치매 초기인지 건망증인지 구분하기기 쉽지 않다. 이럴 때는 특정한 ‘힌트’를 제시했을 때 기억을 해내는지 파악하는 방법이 유용하다. 정보가 입력되지 않아 사건 자체를 기억하지 못하는 치매와 달리 건망증은 잊고 있었다가도 사건에 대한 일부 힌트를 주면 기억을 해내기 때문이다.

생일 모임처럼 특정한 사건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면 당시 먹었던 음식이나 장소 등 힌트를 제시했을 때 “아, 그랬지, 깜빡했네”같은 반응을 보이며 대화가 이어진다면 건망증일 확률이 높다. 반대로 “그런 일이 있었나”라며 기억을 못하거나 아예 없었던 일처럼 반응한다면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
노인성 난청도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가운데 하나다. 난청을 방치하면 의사소통이 어려워져 삶의 질이 떨어지는 건 물론 인지기능 저하, 우울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보청기를 착용하면 청력 기능 악화도 늦출 수 있다. 노인성 난청이 발생하는 이유는 청력을 담당하는 귓속 달팽이관이 노화된 탓이 가장 크다. 담배와 술, 머리 외상, 약물 복용 등도 난청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대화를 하는 동안 부모님 목소리가 커지거나 되풀이해서 묻는다면 노인성 난청을 의심해 봐야 한다.

전립선 비대증 등 전립선 질환은 화장실에 얼마나 자주 가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살펴볼 수 있다. 전립선 비대증은 남성의 방광 아래에 위치한 전립선이 커지면서 소변이 배출되는 통로인 요도가 압박받아 좁아지는 상태를 말한다. 평소와 달리 빈뇨, 지연뇨 등 배뇨장애를 겪고 있다면 전립선 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방치하면 방광이나 신장 기능 악화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전립선 비대증과 전립선암을 구별하기 쉽지 않으므로 50세 이상이라면 1년에 한 번 정도는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영상통화를 통한 부모님 건강 확인법도 유용하다. 장일영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는 “자녀에게 영상 통화를 걸 수 있는지, 화면이 자주 흔들리지는 않는지, 얼굴살이 전보다 빠졌는지 확인해 보라”면서 “양 손 엄지와 검지로 종아리를 감싸보도록 하고, 평소 복용하는 약 상자를 비춰보게 하는 것도 좋다”고 조언했다.

스마트폰을 통한 영상통화 방법을 여러 차례 설명해줘도 어려워한다면 집중력이나 이해력 저하 등 인지기능 저하 초기 증상이거나 혹은 시청력의 감퇴 신호일 수 있다. 영상통화 도중 화면이 너무 자주 흔들린다면 파킨슨병일 수도 있으니 평상시에도 행동이 느려지고 자주 중심을 잡기 어려운지 확인해보는 게 좋다. 노년층이 얼굴살이 빠져 갸름해 보이는 것도 건강이상 신호일 수 있으니 주의해서 살펴야 한다.

종아리 둘레를 재보는 것은 전반적인 근육량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양 손으로 만든 동그라미가 종아리 두께보다 커 여유롭게 감쌀 수 있다면 근감소증 위험이 6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평소 어떤 약을 복용하는지, 복용지침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건강관리를 돕는데 도움이 된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