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모의 치매를 걱정하는 자식들이 적지 않다. 오랜만에 가족들이 모두 모이는 설명절의 들뜬 기분도 잠시, 볼 때마다 노부모의 기억력이 예전같지 않게 느껴진다면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다.
사실, 치매 노인의 가파른 증가는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치매 진료인원은 2009년 21만 7000명이던 것이 2013년에는 40만 5000명으로 5년 사이에 87.2%인 18만 9000여명이나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이 놀랍게도 17%에 이른다.
알코올질환 전문병원인 다사랑중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수련 원장은 “치매환자 증가 속도만 보더라도 치매는 이제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라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치매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2012년을 기준으로 9.18%에 달했는데, 이는 이 연령대 인구 10명 중 1명꼴로 치매를 앓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치매 초기 증상 놓치지 않아야
치매의 종류에는 퇴행성(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음주나 여러 종류의 기타 질환에 의해 생기는 치매 등이 있다. 그 중 알코올성 치매는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방치할 경우 짧은 기간에도 급격하게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알코올성 치매는 알코올의 독성으로 인해 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부위가 손상되어 발생한다. 소위 필름이 끊기는 ‘블랙아웃’ 증상이 잦아지거나 술을 마시지 않은 상태에서도 건망증이 심해지는 등 단기 기억장애가 생긴다면 알코올성 치매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또 성격이 거칠어지거나 화를 내는 등의 폭력적인 행동 역시 주요 증상이다. 알코올의 영향으로 감정을 조절하는 전두엽에 먼저 문제가 생기면 이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최수련 원장은 “알코올은 대부분의 치매 발생에 90% 이상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며 “만성적인 음주 습관은 뇌세포를 파괴하고, 뇌의 크기를 줄여 전반적인 뇌의 기능을 떨어뜨린다”고 말했다.
이런 알코올성 치매는 영구적인 뇌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초기 증상을 놓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60대 이상의 습관성 음주자가 가장 취약
지난해 12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60대 남성이 술로 인한 알코올 정신장애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60대 남성은 젊은층에 비해 음주 기간이 길고, 은퇴 시기와 맞물리면서 정신적 스트레스를 술로 해결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자녀와 따로 사는 노인들의 경우 외로움을 이기기 위해 습관적으로 마시는 술이 알코올성 치매로 이어지기 쉽다. 자녀와 함께 살더라도 억압적인 분위기라면 남몰래 술만 찾아 마시다가 알코올 문제를 겪는 사례도 의외로 많다.
최수련 원장은 “알코올성 치매는 술을 마시지 않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면서 “부모의 잘못된 음주습관을 방치하는 행동이 결국 알코올성 치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코올성 치매를 예방하려면 금주가 기본이다. 하지만 과도한 음주로 인해 이미 뇌의 기질적 변화가 진행되는 상태라면 개인의 의지만으로 음주량을 줄이거나 끊기가 어렵게 된다. 이런 경우라면 더 늦기 전에 가까운 알코올 상담 센터나 알코올질환 전문병원을 찾는 것이 현명하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사실, 치매 노인의 가파른 증가는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치매 진료인원은 2009년 21만 7000명이던 것이 2013년에는 40만 5000명으로 5년 사이에 87.2%인 18만 9000여명이나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이 놀랍게도 17%에 이른다.
알코올질환 전문병원인 다사랑중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수련 원장은 “치매환자 증가 속도만 보더라도 치매는 이제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라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치매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2012년을 기준으로 9.18%에 달했는데, 이는 이 연령대 인구 10명 중 1명꼴로 치매를 앓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치매 초기 증상 놓치지 않아야
치매의 종류에는 퇴행성(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음주나 여러 종류의 기타 질환에 의해 생기는 치매 등이 있다. 그 중 알코올성 치매는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방치할 경우 짧은 기간에도 급격하게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알코올성 치매는 알코올의 독성으로 인해 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부위가 손상되어 발생한다. 소위 필름이 끊기는 ‘블랙아웃’ 증상이 잦아지거나 술을 마시지 않은 상태에서도 건망증이 심해지는 등 단기 기억장애가 생긴다면 알코올성 치매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또 성격이 거칠어지거나 화를 내는 등의 폭력적인 행동 역시 주요 증상이다. 알코올의 영향으로 감정을 조절하는 전두엽에 먼저 문제가 생기면 이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최수련 원장은 “알코올은 대부분의 치매 발생에 90% 이상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며 “만성적인 음주 습관은 뇌세포를 파괴하고, 뇌의 크기를 줄여 전반적인 뇌의 기능을 떨어뜨린다”고 말했다.
이런 알코올성 치매는 영구적인 뇌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초기 증상을 놓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60대 이상의 습관성 음주자가 가장 취약
지난해 12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60대 남성이 술로 인한 알코올 정신장애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60대 남성은 젊은층에 비해 음주 기간이 길고, 은퇴 시기와 맞물리면서 정신적 스트레스를 술로 해결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자녀와 따로 사는 노인들의 경우 외로움을 이기기 위해 습관적으로 마시는 술이 알코올성 치매로 이어지기 쉽다. 자녀와 함께 살더라도 억압적인 분위기라면 남몰래 술만 찾아 마시다가 알코올 문제를 겪는 사례도 의외로 많다.
최수련 원장은 “알코올성 치매는 술을 마시지 않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면서 “부모의 잘못된 음주습관을 방치하는 행동이 결국 알코올성 치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코올성 치매를 예방하려면 금주가 기본이다. 하지만 과도한 음주로 인해 이미 뇌의 기질적 변화가 진행되는 상태라면 개인의 의지만으로 음주량을 줄이거나 끊기가 어렵게 된다. 이런 경우라면 더 늦기 전에 가까운 알코올 상담 센터나 알코올질환 전문병원을 찾는 것이 현명하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