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열대야 대처법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열대야 대처법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좀 눅눅했어도 장마 때는 그러지 않았는데 비 그치고, 구름 걷히니 정말 덥습니다. 햇볕을 맞은 살갗은 마치 복숭아털이라도 묻은 것처럼 따갑고, 전신은 끈적거립니다. 몸이 이렇게 더위를 느끼는 것이 느낌처럼 결코 피부의 문제는 아닙니다. 모든 지각은 뇌에서 이뤄지고, 몸은 뇌의 판단에 따라 반응할 뿐입니다.

인체는 36.5도의 체온을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온도가 15도 아래로 내려가면 뇌가 신호를 보내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움츠리게 하고, 40도를 넘으면 “야, 이거 장난 아닌데.”라고 느끼게 해 열을 방출합니다.

이런 지각작용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이뤄집니다. 뇌의 아래쪽에 자리 잡은 시상하부는 용적이 고작 4∼5g에 불과해 전체 뇌의 300분의1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곳은 자율신경계의 중추가 모여 있어 생명활동과 직결된 곳입니다. 체온조절은 물론 성욕과 정서적 반응까지 관장하지요.

지금처럼 날이 더워 체온이 오르면 시상하부는 즉각 뇌하수체를 통제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심장 박동을 부추겨 혈류량을 늘립니다. 혈류량이 늘면 피부의 모세혈관을 통해 더 쉽게 열을 방출할 수 있지요. 그 뿐 아니라 모공을 열어 땀을 배출하기도 합니다.

문제는 더위가 인체의 이런 자율 메커닉을 무력하게 한다는 점입니다. 열대야 때문에 끙끙 앓을 때가 그때입니다. 에어컨을 틀자니 전기료가 겁나고, 선풍기 정도는 보듬고 있어도 성에 차지 않습니다. 궁리 끝에 근처 가게를 찾기도 하지만 그때뿐, 가게를 나서는 순간 ‘훅’ 하고 더운 바람이 덮치니 밤 새울 일이 막막할 밖에요.

그럴 때는 도리없습니다. 안달복달 속에 열을 채울 게 아니라 한껏 마음을 비우고 느긋하게 더위에 몸을 맡겨야 합니다. 그래도 덥다면 찬물 몇 바가지 끼얹고 나와 서늘한 기운 가시기 전에 얼른 잠에 빠지는 게 상책입니다. 열대야를 이기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이 정도는 돼야 여름이지.”라고 편하게 생각하면 나던 땀도 절로 식습니다.

jeshim@seoul.co.kr
2011-07-25 2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