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단위로 갯벌이 지닌 가치를 탄소 중립 차원에서 규명한 세계 첫 연구결과가 나왔다. 해양수산부는 김종성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국가 차원에서 갯벌의 탄소흡수 역할 및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연구결과를 국제 저명학술지 ‘종합환경과학회지’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해수부는 갯벌의 블루카본 흡수량 및 범위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도부터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김 교수 연구팀은 지난 4년간(2017~2020) 전국 연안 20개 갯벌에서 채취한 퇴적물을 대상으로 총 유기탄소량과 유기탄소 침적률을 조사한 후, 인공위성 촬영 자료를 활용한 원격탐사 기법으로 전국 단위의 연안습지 블루카본과 온실가스 흡수량을 평가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우리나라 갯벌이 약 1300만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26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간 승용차 11만 대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우리나라 갯벌이 흡수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는 갯벌의 이산화탄소 흡수 잠재량을 국가 단위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세계적으로 국가 단위의 해초류, 염습지, 맹그로브를 대상으로 블루카본 잠재량 및 연간 온실가스 흡수량을 보고한 국가는 현재까지 미국, 호주뿐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서울대팀의 연구결과는 갯벌 블루카본 연구를 선도하고 앞으로 관련 연구의 국제적인 관심과 활성화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종성 교수는 “우리나라가 갯벌의 역할을 세계 최초로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며, 갯벌 블루카본이 탄소감축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갯벌의 블루카본 흡수량 및 범위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도부터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김 교수 연구팀은 지난 4년간(2017~2020) 전국 연안 20개 갯벌에서 채취한 퇴적물을 대상으로 총 유기탄소량과 유기탄소 침적률을 조사한 후, 인공위성 촬영 자료를 활용한 원격탐사 기법으로 전국 단위의 연안습지 블루카본과 온실가스 흡수량을 평가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우리나라 갯벌이 약 1300만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26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간 승용차 11만 대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우리나라 갯벌이 흡수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는 갯벌의 이산화탄소 흡수 잠재량을 국가 단위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세계적으로 국가 단위의 해초류, 염습지, 맹그로브를 대상으로 블루카본 잠재량 및 연간 온실가스 흡수량을 보고한 국가는 현재까지 미국, 호주뿐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서울대팀의 연구결과는 갯벌 블루카본 연구를 선도하고 앞으로 관련 연구의 국제적인 관심과 활성화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종성 교수는 “우리나라가 갯벌의 역할을 세계 최초로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며, 갯벌 블루카본이 탄소감축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