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보다 선박 황산화물 배출 심각…예산 부족·상시 관측망도 없어
대책없는 세계 10대 ‘오염항’ 부산 대형 선박에서 비롯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심각한 수준이지만 정부가 추진해 온 대기 질 개선 대책은 석탄화력발전소와 경유차량 관리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선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의 관측 시스템조차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부산항이 ‘세계 10대 초미세먼지 오염항만’으로 선정됐다.●中 7대 항만·두바이·싱가포르 포함
1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내놓은 ‘항만도시 미세먼지 대책 수립 시급’ 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영국 과학잡지 네이처는 우리나라 부산항을 중국 7개 항만과 두바이, 싱가포르 등과 함께 ‘세계 10대 초미세먼지 오염항만’으로 꼽았다. 바닷바람이 부는 부산 등 항만도시의 공기 질이 내륙지역에 비해 훨씬 좋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의외로 우리나라 항만도시의 대기오염 수준이 위험 수준이라는 것이다.
KMI는 다량의 황이 함유된 벙커C유 등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으로 인한 대기오염의 기여도가 매우 크다고 분석했다. 이 선박들은 초미세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 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용객이 늘고 있는 초대형 크루즈선의 경우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 승용차 350만대에 이르는 황산화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선박의 주연료인 벙커C유의 황 함유 기준은 3.5%로 육상에서 사용하는 경유(0.1% 이하)보다 훨씬 높다”며 “차량용 경유의 황 함유 기준은 0.001%로 선박과 경유차가 동일한 양의 연료를 연소할 경우 선박이 배출하는 황산화물 양이 자동차의 3500배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선박의 연료 소모량은 자동차보다 수백배나 많으며 초대형 크루선의 연료 소모량은 약 1만ℓ에 이르는 것으로 나왔다. 부산항에는 연간 컨테이너선 1만 5000여척, 일반화물선 5000여척, 원양어선 1100여척, 수리선박 1300여척 등 총 2만 3000척가량의 선박이 드나든다. 부산의 초미세먼지는 도로 외 지역에서 77%를 배출하고 있고, 그중 절반 정도를 선박이 차지한다.
이 때문에 국제사회는 선박 등 해운·항만 산업에 의한 환경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은 자체적으로 배출통제 구역을 지정해 선박의 연료 규제를 시작했고, 미국은 선박의 운항속도를 줄여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줄이는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선박 배출가스 저감 예산 크게 부족
그러나 우리나라는 석탄화력발전소와 경유차량 관리에 치우쳐 선박에 기인한 대기오염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고 KMI는 지적했다. KMI는 “미세먼지 관리특별대책 세부 이행계획 예산 5조원 중 선박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에는 300억원(선박 3000척 대상) 배정으로 재원이 많이 부족해 항만구역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을 상시 측정할 수 있는 관측망도 없는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KMI 관계자는 “선박과 항만에서 배출되는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에 대한 적극적 관리와 재원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7-05-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