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D-15… 수험생·가족 7계명
이젠 당일 컨디션 끌어올리기에 집중해야가족은 불안감 덜도록 “잘될 거야” 응원을
①“불안감 줄이고 자신감 최대한 키워라”
수험생들은 수능일이 다가오면 과거 모의평가 등에서 점수가 잘 나오지 않았던 과목 등에 대한 기억으로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 못 봤던 과목보다 잘 봤던 과목만 떠올려보자.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과목이라도 지금까지 봤던 시험 중 가장 잘 본 기억을 떠울리며 긍정적으로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②“모든 것 완벽해야 한다는 강박관념 버려라”
불안감과 함께 경계해야 할 마음가짐은 ‘모든 것을 완벽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다. 보름 동안 평소처럼 지낸다 해도 몸에 탈이 날 수도 있고, 잠을 설치는 경우도 충분히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도 ‘있을 수 있는 일상적인 일’로 받아들이면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다만 지나친 불안감으로 인해 몸에 이상이 생겼을 때는 지체 없이 병원을 찾아 의사 등 전문가 조언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시험 당일의 실수가 당락을 좌우한다는 중압감을 버려야 한다”면서 “시험 결과는 실수가 아닌 평소 자신이 쌓아온 학습량에 비례한다는 점을 잊지 말고 여유를 갖고 마지막 정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③“불면엔 적절한 운동… 짧은 TV시청도 OK”
남은 기간 동안 충분한 수면은 컨디션 유지에 중요한 요소다. 불안감으로 인해 잠을 설치는 일이 잦다면 잠자리에서 평소 생활하면서 즐거웠던 기억을 떠올리도록 해 보자. 긴장감 해소와 함께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적절한 운동이나 잠깐 동안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도 도움을 줄 수 있다.
④“‘수능 1교시 효과’를 경계하라”
‘수능 1교시 효과’란 1교시인 국어 영역에서 지나치게 긴장해 시험을 망쳤다는 생각에 이후 시험에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뜻한다. 국어에 자신 있는 수험생이라도 수능 당일엔 누구나 긴장하기 마련이다. 1교시 효과를 없애기 위해서는 잘 풀리지 않는 문제를 만났을 때 당황해서 무작정 문제를 붙잡고 시간을 끌기보다 과감하게 넘겨 다른 문제부터 푸는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나에게 어려운 문제는 다른 수험생들도 어렵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면서 “어려운 몇몇 문제에 연연하지 말고 자신감 있게 문제를 대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⑤“신체리듬을 수능에 맞춰라”
수능 당일 수험생들은 오전 8시 10분까지 고사장 입실을 마쳐야 한다. 따라서 신체리듬을 이 시간에 맞추도록 미리 연습해두면 도움이 된다. 매일 아침 8시 10분까지 등교해 그 시간에 정상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매일 이 시간에 맞춰 수면 및 식사 시간 등을 조절한다면 수능 당일 신체 컨디션을 최상의 상태로 끌어올릴 수 있다. 1교시 오전 8시 40분 국어, 2교시 오전 10시 30분 수학, 3교시 오후 1시 10분 영어, 4교시 오후 2시 50분 탐구 등 학습 시간을 수능 시간표대로 짜서 공부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⑥“국어는 새로운 지문·수학은 ‘킬러 문항’ 대비”
마음을 가다듬고 컨디션 조절을 하는 것과 함께 문제를 푸는 ‘감’을 끝까지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국어 비문학의 경우 낯선 지문들을 시험 직전까지 꾸준히 접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수학은 난도가 높은 ‘킬러 문항’에 대비해 하루에 몇 문제씩 만이라도 어려운 문제들을 꾸준히 풀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⑦“가족들은 긍정적 생각 가지도록 용기 북돋아야”
수험생뿐 아니라 학부모 등 가족들도 수능일이 다가올수록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 그럴수록 가족들이 더 긍정적인 생각으로 수험생 본인에게 용기를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진학사가 최근 고3 회원 18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부모님에게 가장 듣고 싶은 말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걱정하지 마, 다 잘될 거야’가 65%(1218명)로 가장 많았다. 수험생 가족들은 얼마 남지 않은 기간에 수험생 본인의 부담감을 최대한 덜어줄 수 있도록 수능 시험 이야기보다는 긴장감을 풀어 줄 수 있는 일상 이야기를 대화의 소재로 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10-31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