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영상 보고 꿈 찾으라는 ‘中1 자유학기제’

공연·영상 보고 꿈 찾으라는 ‘中1 자유학기제’

입력 2014-12-08 00:00
수정 2014-12-08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구·희망학교 ‘시간 때우기’ 속출

학업에 찌든 청소년들의 꿈과 끼를 키워주자는 목표로 2013년 도입된 중학교 자유학기제가 여건 미비 등으로 여전히 겉돌고 있어 2년 후 전면시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표적 교육 공약인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중간·기말고사 등 시험부담에서 벗어나 진로탐색 등 다양한 체험 활동에 나서도록 하자는 취지로 도입됐다. 올해 전체 중학교의 25%인 811개교가 연구·희망학교로 선정됐고, 내년에는 50%로 확대된다. 대부분 1학년 2학기를 자유학기제로 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직업 탐색을 위한 현장 학습 기관을 찾는 게 어렵다는 점이다. 그렇다 보니 ‘시간 때우기’ 운영도 속출한다. 실제 서울 시내 한 중학교는 중간고사 기간 청소년문화센터에서 단체로 공연을 관람했고, 근처 특성화고교에서 통일교육 관련 영상물을 보는 것으로 직업 체험을 대신하기도 했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학력 부진을 우려하고 있다. 중학교 1학년 아들을 둔 최모(41·상업)씨는 “당장 2학년에 올라가서 교과 과정을 못 따라갈까 걱정스럽다”면서 “자유학기제 때문에 학원을 더 열심히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학생들도 불만이다. 시험이 없을 뿐, 평소에는 각 교과목 시수를 채우고 진도를 맞추기 위해 더 빡빡하게 학사 운영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일부 중학교에서는 교사들의 무성의로 학생들끼리만 현장 학습을 가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 교사들은 현실적으로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은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서울 H중학교 1학년 담임 김모(37) 교사는 “초등학교와는 다른 새로운 학습 패턴에 익숙해져야 하는 중학 1학년생이 자기 진로를 고민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다”며 “각 대학들이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수험생의 전공적합성을 따지고 있는 만큼 고교 과정에서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12-0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