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공회의소
급등한 해상운임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부산지역 기업들이 수출을 포기하거나 축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8일 지역 275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물류비와 관련한 실태와 의견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지역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은 6.9%였다. 이는 전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이 10%를 넘는 기업이 전체의 32.4%나 있어 최근 해상운임 급등의 영향을 받는 기업이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상운임이 급등하기 전인 2023년 말과 비교해 물류비 부담 수준이 어떻게 달라졌느냐는 질문에 35.5%가 부담이 커졌다고 답했다. 부담이 줄었다고 답한 기업은 5.5%에 지나지 않았다. 전체 물류비 중 해상운송비가 50%를 넘는 수출기업들은 48.2%가 물류비 부담이 늘었다고 답했다.
물류비 상승에 따른 피해로는 전체의 29.5%가 납기 변동과 지연을 꼽았다. 채산성 상실에 따른 수출 포기 또는 축소라고 답한 기업도 28.0%나 있었다. 또 21.8%는 원·부자재 조달 차질을 겪었다고 답했다.
해상운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는 전체의 76.7%가 직접적인 수출 물류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다음은 물류 창고 등 보관 지원 10.9%, 터미널 반입일 연장 5.5%, 컨테이너 확보 지원 4.4% 순이었다.
기업들은 해상운임이 올해도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상화 시점을 언제로 예측하느냐는 질문에 40.9%가 2026년 이후로 답해 해상운임 고공행진의 장기화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해상운임이 큰 폭으로 상승한 후 안정화되지 않아 수출기업의 피해가 누적되는 상황인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관세 인상 등 수출 환경의 불안 요인마저 커지고 있다”라며 “대외 변수에 대응력이 취약한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지역 경제 특성을 고려하면,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물류비 지원 등 정책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