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국토교통부가 가덕도신공항을 해상공항으로 건설하는 대신, 터미널과 주요 시설 등을 섬 내부로 들여와 매립식으로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가덕도신공항 건설 건설 방법을 해상공항으로 결정하기 전 부산시가 제안한 방식으로, 터미널과 활주로 등이 섬 내부에 들어서 있다. 부산시 제공
27일 부산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가덕도신공항의 터미널과 활주로 일부를 섬 안으로 들여와 육지와 바다에 걸친 매립식으로 공항을 건설하는 방법을 검토 중이다. 국토부는 이 방법을 포함해 가덕도 신공항을 2030년 이전에 개항할 수 있는 방법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다음 달 중순쯤 최종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공법 발표 시점이 얼마 남지 않았고, 내년에 착공하려면 올해 안에 전략환경영향평가, 기본계획 고시 등을 거쳐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육상과 해상에 걸쳐 매립식으로 건설하는 방법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방법으로 건설하면 기존 안에 비해 매립량이 30% 이하로 줄어 착공부터 5~6년 이내에 가덕도신공항을 개항할 수 있고, 현재 13조7600억원으로 추정되는 사업비도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사전타당성 검토에서는 가덕도신공항의 길이 3500m 활주로 전부를 바다를 매립해 건설하는 방법이 최적으로 검토됐다. 이 경우 수심이 최대 30m, 연약지반이 45m인 바다를 메워야 해 개항은 2035년에나 가능한 것으로 발표됐다. 육상과 해상에 걸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수심이 얕은 가덕도 근해를 매립하게 돼 공기 단축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월 부산시는 가덕도 신공항의 터미널은 매립식으로 하되, 활주로는 바다 부체를 띄워 건설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국토부에 공식 제안했다. 사전타당성검토에서 제시된 방법보다 매립량을 3분의 1로 줄여 2029년이면 개항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다. 하지만, 부체식으로 활주로를 건설하는 방법은 세계에서 한 번도 시도된 적이 없어서 불확실성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현재 검토 중인 해상과 육상에 걸친 매립식 건설 방안은 애초에 부산시가 제안했던 가덕도신공항 건설방안이다. 하지만, 부산신항 컨테이너선박이 통행하는 폭 3.3 ㎞ 해상로인 가덕수도를 높이가 70m가 넘는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지날 경우 항공기와 간섭이 생길 수 있고, 육상과 해상에서 불규칙하게 침하가 일어나는 부등침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전타당성 검토에서는 해상공항이 최적 방안으로 검토됐다. 하지만 국토부는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가덕수도를 지나는 경우는 한 달 2.4회에 불과해 회피가 가능하고, 부등침하도 국내 건설기술로 극복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 관계자는 “국토부가 가덕도신공항을 2030년 이전에 개항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영할만하다. 국토부가 공법을 결정하면 곧장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가 오는 10월에 고시하고, 내년에 착공하면 4~5년 내 완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