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차량 무상점검 ‘착한정비소’ 출범

장애인 차량 무상점검 ‘착한정비소’ 출범

박찬구 기자
입력 2022-07-03 15:05
수정 2022-07-03 15: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애인고용공단, 여름 휴가철 앞두고
안전 점검과 함께 차량 수리비 할인
카리쓰마(차량 리사이클링)프로젝트 일환

이미지 확대
서울 장애인 콜택시 서울시설공단 제공
서울 장애인 콜택시
서울시설공단 제공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장애인 차량을 대상으로 무료 점검과 상시 정비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착한 정비소’ 사업이 시행된다. 안전 상태를 점검하는 서비스와 함께 차량 수리시에는 공임비의 20%를 할인해 준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3일 경기도 자동차 전문 정비사업조합(카포스), 경기도기술학교와 함께 경기 지역 장애인 차량 100대에 대해 무상 점검을 실시하고 상시 정비 할인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 3개 기관은 지난해 교통약자인 장애인의 차량 관리를 지원하는 ‘카리쓰마(차량 리사이클링) 프로젝트’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환경 자원을 인공적으로 재생해 다시 이용하는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하는 개념이다.

공단 측은 “카리쓰마 프로젝트는 차량을 리싸이클링해 쓰임이 있는 곳에 나눈다는 의미로, 이번 착한정비소 출범 역시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착한 정비소’라는 스티커가 부착된 카포스 소속 정비업체를 방문하면 장애인 차량에 대해 무료 점검 등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카포스 경기도조합 측은 “장애인의 안전을 책임지기 위해 카포스 조합원들이 착한 정비소로 등록해 기능 봉사를 펼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착한 정비소 현황은 공단 누리집(www.kead.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지난 4월에는 장애인고용공단 서울동부지사가 소셜벤처기업 코액터스와 함께 누구나 손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애인 택시 기사(행복 드라이버) 일자리를 연내 100개 이상 마련하기로 한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