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여파 제주로 이주 바람 다시 부나?

코로나 19 여파 제주로 이주 바람 다시 부나?

황경근 기자
입력 2021-01-27 13:46
수정 2021-01-27 13: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제주 유입인구 3000명대로 늘어나

이미지 확대
제주시내 전경(서울신문 DB)
제주시내 전경(서울신문 DB)
제주 이주 바람이 코로나19 여파로 되살아나는 분위기다.

27일 통계청의 2020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제주지역 순유입 인구는 3378명으로,전년 2936명과 비교해 442명(15.1%) 증가했다.1년간 9만8114명이 전입하고,9만4736명이 전출했다.

전국적으로 인구가 순유입된 지역은 세종(순유입률 3.8%),경기(1.3%),제주(0.5%),강원(0.4%) 등 6개 시도이고 나머지 11개 시도는 순유출됐다.

지난해 제주지역 인구이동 추세를 보면 1월 -284명,2월 78명,3월 -362명 등으로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4월부터 12월까지 순유입이 전출자보다 많았다.

부동산업계 등 전문가들은 “지난해 드림타워 복합리조트의 대규모 신규인력 채용과 코로나 19 확산세가 상대적으로 덜한 제주로 일시 이주한 사람도 늘어난것으로 보인다”면서 “아직 이주 바람이 되살아났다고 보기엔 성급하고 앞으로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수년간 1만명대를 유지하던 제주 순유입 인구는 지난해 2000명대를 기록하면서 이주 바람이 멈추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간 제주 순유입 인구는 2014년 1만1112명,2015년 1만4257명,2016년 1만4632명,2017년 1만4005명 등으로 1만명대를 유지하다 2018년 8806명으로 줄어든 뒤 지난해 2000명대로 급락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