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시신 수십구가 나와 관계자들이 출입 통제선을 치고 있다. 이들 시신 중에는 무연고 사망자나 사형수 표식 없는 유골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5·18 행방불명자 관련성이 주목된다. 연합뉴스
김오수 법무부 장관 대행은 20일 옛 광주교도소를 찾은 자리에서 부지 내 무연고 묘지 개장 작업 중 “저희가 관리하지 않는 신원미상의 유골 40여구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유골이 발굴된 곳은 법무부가 솔로몬로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대상 부지로 무연고 묘지가 일부 포함된 장소다.이 공동묘지 개장 작업은 지난 16일부터 이날까지 이뤄졌다.
김오수 장관대행과 문찬석 광주지검장 등 관계자는 이날 현장을 둘러보고 개장 작업과정에서 발굴된 유골 등에 대한 보고를 들었다.
무연고자 공동묘지는 교도소 안에서 사망했으나 가족 등 연고가 없어 매장하는 곳으로 2년 이내 시신을 인도할 사람이 없으면 화장 또는 합장하는 방식으로 관리됐다.
김 대행은 당초 이곳 공동묘지에는 개인 묘 50기와 합장묘 2기 등 모두 111구의 유골을 법무부가 관리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개장 과정에서 법무부(광주교도소)가 관리하지 않는 40여구의 유골이 추가로 발견됐다는 것이다.
법무부 관리 묘지는 개인묘가 52기,각 41명과 20명이 묻힌 합장묘 2기다.
이 113구의 유골 이외에 40여구가 추가로 발굴됐다는 점에서 5·18당시 암매장된 행불자일 가능성이 주목된다.
현장에서 발굴된 유골은 함평 국군통합병원에 안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오수 법무부 장관 직무대행이 20일 오후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부지 유골 발견 현장을 살펴보고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법무부가 관리하지 않은 유골이 40여구 발견돼 5·18 연관성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김후식 5·18부상자회장은 “유류품이 전혀 나오지 않아 5·18행방불명자일지 아니면 다른 사람의 유골일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국방부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협조를 받아 1차 육안검사와 2차 DNA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신원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옛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계엄군에 붙잡힌 시민들이 대거 수감된 곳으로 시위 과정에서 숨진 사람이 암매장 됐을 거라는 말이 나돌던 곳이다.
이곳에는 1980년 5월21일부터 24일까지 3공수여단이 주둔했다. 교도소 담장 안과 인근 야산에서는 5·18 직후 모두 11구의 시신이 암매장됐다가 수습되기도 했다.
5·18기념재단은 “당시 계엄당국은 광주교도소에서 28명의 시민이 사망했다고 발표했지만 교도소 주변에서는 현재까지 11구의 시신만 발견됐다”며 “나머지 17명의 시신의 행방을 찾아왔으나 지금껏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그동안 5·18과 관련해 행방불명자로 인정된 시민은 82명으로 이 중 6명만이 유전자분석을 통해 시신을 찾았다고 밝혔다. 76명의 행방은 지금껏 오리무중이다.
광주교도소는 2015년 북구 삼각동으로 이전했으며, 광주시와 법무부는 이곳 일대를 민주·인권 테마 파크로 조성하기 위해 건물과 지장물 철거 작업을 펴고 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