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 출신 학교 보안관 김중남씨
김중남씨
지난해 2월 서울 용마초교 교감을 끝으로 교단에서 물러난 김중남(63)씨는 요즘 교무실이나 교실 대신 학교 정문을 지킨다. 지난 1월 서울의 한 초교에서 학교 보안관으로 새 삶을 시작했다. 보통 오전 7시 30분 출근해 오후 4시까지 등하교 교통지도를 하고 학교 방문객의 출입을 관리하는 게 주업무다. 관리직을 지낸 전직 교원이 보안관으로 재취업하는 건 드문 일이다. 지난 10일 학교에서 만난 그는 “교사 때와 하는 일은 다르지만 아이의 안전을 지키는 일인 데다 학교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직책이라 책임감과 부담감이 크다”고 말했다.
떠난 지 1년 만에 학교로 돌아온 이유는 간단했다. “41년간 교직에 있다가 자유를 얻으니 잠깐 좋았지만 6개월쯤 지나니 귓전에 아이들 목소리가 환청처럼 들렸다”는 것이다. 아침 산책을 하다가 초등학생들이 등교하며 재잘거리는 모습을 보면 ‘아이들 곁에서 다시 생활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해졌다. 그는 “이미 퇴임한 뒤라 기간제 강사 등으로 일하긴 어려웠고 보안관으로 일하는 게 의미 있다고 봤다”고 말했다.
‘교감’ 출신이라는 경력을 이력서에 쓰면 취업이 쉬울 줄 알았다. 오산이었다. 학교보안자격증을 따고 체력 인정 기준까지 통과해 여러 학교에 지원했지만 1차 면접에서 줄줄이 낙방했다. 경쟁자들의 이력서도 화려했다. 각 학교 보안관 모집 때마다 영관급 출신 군인들과 파출소장을 지낸 전직 경찰 등 장년 구직자 70~80명이 몰렸다.
어렵게 한 초교 보안관직에 최종 합격한 김씨는 마음을 내려놓는 일부터 시작했다. 채용 담당 관리자와 일부 교사들을 빼고는 학생이나 학부모 등 대부분이 김씨가 교감 출신이라는 걸 모른다. 학교 안팎을 순찰하다 보면 ‘지적’하고 싶은 모습들도 보였지만 말하지 않았다. 보안관이 자기 일이 아닌 다른 직무에 참견하면 안 될 것 같아서다.
김씨는 “교단에서 내려와 학교를 보니 안 보이던 것들이 많이 보인다”고 했다. 예컨대 학부모 입장에선 교사가 여전히 대하기 어려운 존재라는 걸 사소한 에피소드를 통해 깨달았다. “가끔 학부모들이 ‘아이가 준비물을 놓고 갔다’며 학교에 오는데 ‘화장도 안 해 담임 선생님을 만나기는 조금 그렇다’며 정문에 물건을 맡기더라고요. 전혀 신경쓸 일이 아닌데 학부모님들 마음은 그렇지 않은가봐요.”
“국정도 대통령과 장관이 다 운영하는 것 같지만 말단 공무원까지 각자가 역할을 해야 돌아가는 것처럼 학교도 교사뿐 아니라 미화원, 보안관, 주무관까지 모두가 제몫을 해줘야 잘 돌아가죠. 학교에서 오래오래 일하고 싶습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19-05-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