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 실증책임자’ 윤정호 안양시 교통정책과 보좌관
윤정호 보좌관이 6일 U통합상황실에서 실종자의 신원 확인을 위한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 현장 실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안양시는 지난해 말 총괄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협약을 맺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 등 정부 부처에서 추진한 실종자 신원 확인을 위한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 현장 실증에 나섰다. 실무책임을 맡은 그는 “실증으로 사업을 마무리하면 실종자의 최근 예측사진과 실종 당시 키나 옷차림 등 정보를 활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신원을 확인하고 최종적인 동선 추적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유전정보를 활용한 나이 변환 기술을 활용해 장기미제 사건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 실종자는 연간 2만여명에 이르는 아동과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등을 합쳐 4만명 남짓으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윤 보좌관은 “하지만 현재로선 사고 부근 CCTV 영상을 확보한 후 경찰에서 육안을 통해 실종자 동선을 파악하느라 골든타임을 놓치기 일쑤인 데다 인력과 시간을 많이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능형 CCTV, 다양한 첨단 얼굴인식기술 등을 활용해 실종자 신원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안전한 귀가를 돕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320억원을 들여 매듭을 짓고 있는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은 CCTV 영상만을 활용하는 기존의 신원 확인 방식을 확장한 새롭고 획기적인 기술이다. 입력된 열화영상을 복원하고 유전정보를 활용한 나이 변환, 다중 카메라 동선 추적 등 시간·공간·정보 등을 엮어 신원을 확인한다. 윤 보좌관은 “주로 범죄자 검거나 교통상황을 모니터링하던 영상관제센터에 실종자 신원 확인에 대한 개념을 적용한 게 2년여밖에 안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안양시에서 진행 중인 실증은 연구실 개발품을 현장에서 실제로 통합 운영해 보고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분석하는 테스트베드 단계로 꼭 필요한 과정”이라며 “연구실과 달리 밤과 낮의 조도 차이, 여름과 겨울 온도 차, 눈·비·안개·황사 등 시시각각 변하는 예상치 못한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윤 보좌관은 “실종사건에선 48시간이란 골든타임을 잘 관리해야 하며 장기 실종자 발생 땐 치안 공백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특별한 주의를 요구한다”며 “실종자 가족의 안타까움을 생각하며 앞으로 5년간 복합인지기술개발 실증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입을 앙다물었다.
글 사진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2019-01-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