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성체 훼손 게시글’ 진단
“여성 시위 사회 미래 보여준 것”“타인 배제 없는 여성 운동 필요”
윤김지영 건국대 몸 문화연구소 교수는 11일 “가톨릭이야말로 가부장적이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교계 제도 자체가 남성 위주로 돼 있다”면서 “여성은 성직을 맡을 수 없는 열등한 존재라는 것을 과격한 표현으로 내보낸 것”이라고 봤다. 윤 교수는 서울 종로구 혜화역 인근에서 열리는 여성 집회의 성격에 대해서도 “혜화역이나 낙태죄 폐지 시위에서 폭력적인 행동으로 사회 질서를 해친 게 있었느냐”고 반문하면서 “여성들이 노래를 부르며 연대했다는 것 자체를 위협적인 것으로 봤기 때문에 일종의 반발처럼 문제가 제기된 것”이라며 집회의 취지를 적극 옹호했다.
이택광 경희대 교수는 “해프닝으로 본다”면서 “그것을 과장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여성 집회의 의미에 대해 “촛불이 과거로 회귀하는 대한민국을 저지했지만 나아가야 할 미래는 보여 주지 못했다”면서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미래에 대한 답을 현재 여성들의 시위가 보여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여성운동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려면 혐오를 드러내는 기존의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여성활동가는 “혜화역 시위 참여자들이 몰래카메라에 느끼는 분노는 공감이 간다”면서도 “트랜스젠더나 남성 등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운동의 성과를 긍정화시킬 수 있을지는 회의감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타인을 배제해 극단적인 분리주의로 가는 것이 남성들의 ‘펜스룰’과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도 “급진적인 페미니즘 운동이 이슈를 제기하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대중의 동의를 확보하는 데에는 미흡하다고 본다”면서 “사회운동의 궁극적인 목표인 대중의 지지 확보라는 관점에서 타인의 권리나 자긍심을 훼손하는 행동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여성운동 내에 자정 능력이 있다면 혐오 표현은 사라질 것이고, 이를 지속한다면 대중으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해 운동으로서의 힘을 잃어버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장미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실장은 “대중적 공감대를 만들어 갈 수 있는 방식의 여성 운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18-07-1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