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 중 2명 ‘검·경 수사권 조정’ 찬성… 30대·남성·사무직 찬성률 가장 높아

3명 중 2명 ‘검·경 수사권 조정’ 찬성… 30대·남성·사무직 찬성률 가장 높아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8-05-09 22:42
수정 2018-05-09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2

검·경 수사권·#미투 운동

제주·울산·세종선 80% 긍정적
58% ‘미투’ 여성 권리 성장 도움

국민 3분의2 이상은 검찰의 수사권을 경찰로 분산하는 ‘검·경 수사권 조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9일 서울신문이 여론조사기관인 메트릭스와 함께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서 응답자의 69.9%는 검·경 수사권 조정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한다는 응답률은 17.2%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남성(75.1%)이 여성(64.8%)보다 수사권 조정에 찬성 의견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84.9%)가 수사권 조정에 가장 많이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9~29세(74.2%), 40대(72.3%), 50대(68.8%), 60대 이상(55.8%)이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제주(81.8%), 울산(81%), 세종(80%), 전남(77.5%), 광주(75%), 경기(73.3%), 인천(72%) 등에서 전체 찬성 응답률(69.9%)을 뛰어넘었다. 찬성률이 가장 낮은 곳은 대구(54.3%)였다.

직업별로는 사무·관리직의 찬성률이 79.5%로 가장 높았다. 학력별로는 전문대졸인 응답자의 78%가 수사권 조정을 찬성했다. 특히 진보 성향인 응답자의 찬성 답변이 많았는데 그중에서도 정의당 지지자의 수사권 조정 찬성률은 86.1%에 달했다.

‘미투(#Me too·나도 피해자다) 운동이 여성의 권리 성장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도 58.3%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여성 응답자의 63.1%, 남성 응답자의 53.5%가 긍정했다.

연령별로는 40대(64.5%), 지역별로는 인천(70.4%), 광주(70.2%)에서 긍정률이 높았다. 그러나 충북(38.4%), 세종(40%), 대전(43.3%), 강원(43.3%) 등 대체로 중부 지방에서 긍정률이 낮았다.

직업별로는 전문·자유직(67.5%)에서 미투 운동이 여성의 권리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고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64.7%)에서 긍정적으로 봤다.

수사권 조정과 마찬가지로 미투 운동에 대해서도 진보 성향의 응답자들의 긍정률이 높았다. 특히 정의당 지지자의 74.6%가 긍정적으로 봤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 여론조사 어떻게

성인 남녀 1000명 연령·지역별로 유·무선 전화조사

서울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메트릭스에 의뢰한 여론조사는 지난 6~7일 이틀 동안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표본은 성별·연령별·지역별 인구 비례에 따른 할당추출 방식을 사용했다.

조사 방식은 유·무선 전화면접조사(CATI RDD 방식)로 유선 26%·무선 74%를 사용했다. 전체 응답률은 11.9%(유선전화 8.0%, 무선전화 14.5%),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연령별 응답자로는 19~29세 174명, 30대 171명, 40대 203명, 50대 199명, 60세 이상 253명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8-05-1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