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고령화 시대의 갈등
지난해 신입 셋 중 한 명은 30대사내 부적응에 퇴사하는 경우도
장유유서 통념 속 새 혼란 요소
“나이 어린 선배는 어떻고요.”
한 외국계 기업의 5년차 사원 김모(28·여)씨는 자신보다 4살 많은 신입사원이 들어오면서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김씨의 상사와 신입사원이 ‘대학 동기’였던 것이다. 셋이 같이 있을 때면 신입사원은 김씨를 존대하고, 김씨는 상사에게 말을 높이는데, 신입과 상사는 반말로 대화한다. 이렇게 애매한 분위기에 김씨는 “두 사람이 있는 자리는 일부러라도 피하게 됐다”고 말했다.
공기업 사원 강모(31)씨는 입사 3년차 만에 처음 후배를 맞았다. 후배 사원이 낯이 익다 했더니, 대학 선배였다. 이 때문에 강씨는 회식 때만 되면 하던 고기 굽기, 반찬 채우기, 술 따르기를 지금도 계속하고 있다.
늦깎이 신입사원들도 어려움이 적지 않다. 중견 기업에 다니는 이모(35)씨는 대학에서 한 학번 아래였던 여성 후배와 입사 후 조우했다. 후배는 이씨보다 회사에선 두 기수 선배였다. 평소 “오빠”라고 부르던 후배를 선배로 대하기가 쉽지 않았다. 결국 두 사람은 서먹서먹한 사이가 될 수밖에 없었다. 광고회사에 다니는 이모(32·여)씨는 회사 ‘호랑이 상사’가 자신과 동갑이라는 사실에 적지 않은 불쾌감을 느낀다고 한다. 이씨는 마치 어린 후배 대하듯 “너 혼난다”라는 동갑 상사의 말에 큰 상처를 받기도 했다.
각종 일터에서, 흔히 말하는 ‘족보가 꼬이는’ 현상이 갈수록 많아진다. 유교의 장유유서(長幼有序)가 통념처럼 자리잡은 한국 사회에서 나이와 입사기수의 혼란은 직장 내 새로운 갈등 요소로 떠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1일 취업포털 ‘사람인’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업 64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2016년 신입사원 가운데 30대 비율은 31%이었다. 또 ‘신입 채용 시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61.5%로 나타났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취업난에 늦깎이 취업생이 많아진 데다 경력자 채용이 확대되고 나이 제한이 철폐된 것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진단했다.
문제는 이런 갈등이 커지면 사내 부적응으로 인한 퇴사로도 이어진다는 점이다. 9급 공무원 김모(28·여)씨는 “50대 늦깎이가 입사 동기였는데,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후배로 대하지 않고 아예 외면하거나 업무를 대신해 주다 보니 모두 업무 적응에 실패했다”고 말했다. 한 명은 직장을 그만뒀고, 다른 한 명은 시간제 일자리로 업무 형태를 전환했다. 이 교수는 “연공서열주의라는 것은 하나의 전통이기도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개선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혜리 기자 hyerily@seoul.co.kr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7-09-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