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靑행정관 “재단 사무실까지 챙겨 이상…안종범도 멋쩍어해”

전직 靑행정관 “재단 사무실까지 챙겨 이상…안종범도 멋쩍어해”

입력 2017-02-13 15:45
업데이트 2017-02-13 16: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농단 재판에 증인 출석…“이사진 명단, 수석실서 받아 전경련 전달” “靑 회의서 전경련에 모금하라 한 건 아냐…행정적 도움으로 이해”

미르재단 설립 과정에서 실무 역할을 했던 전 청와대 관계자가 법정에서 당시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재단 사무실까지 직접 챙겨보라고 해 의아했다고 주장했다.

미르재단 이사진 명단도 경제수석실에서 받아 전경련에 전달했는데 역시 이상했다는 게 이 관계자 증언이다.

이수영 전 청와대 행정관은 1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김세윤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최순실(61)씨와 안 전 수석의 재판에 검찰 측 증인으로 나와 미르재단 설립 과정을 증언했다.

국정농단 의혹 사건과 관련한 재판에 청와대 전·현직 관계자가 나와 증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전 행정관은 미르재단 설립 과정에서 이른바 ‘청와대 회의’에 참석했던 멤버로, 재단 설립 실무 과정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행정관은 검찰이 “청와대 비서관과 행정관이 민간재단 사무실을 직접 답사하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느냐”고 묻자 “이상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수석님(안종범)이 그 전날 전경련한테 (답사 후보지를) 만들어오라고 하고 직접 가보라고까지 하니까 다급하신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수석님이 얘기할 때도 ‘이런거까지 해야 하냐’는 식으로 웃었다. 수석님도 어디서 받고 가보라면서 멋쩍어했다”고 회상했다.

이 전 행정관은 3차 청와대 회의에서 전경련에 전달한 미르재단 이사진 명단도 “수석실에서 받아와서 전경련에 전달한 게 맞다”고 말했다.

그는 “장소도 마찬가지고 이사진 명단을 그 회의에서 전달하는 걸 보면서 ‘기업이 돈 내서 재단을 만들지만 재단 인사 등은 별도 추천을 받는구나’, ‘청와대 쪽 의사를 반영해서 기업들이 재단을 만드는구나’라고 생각은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4차례 열린 청와대 회의가 “‘기업이 얼마 가지고 와라’ 이런 걸 전달하는 회의는 아니었다”며 “전경련한테 모금하라고 한 게 아니라 재단 설립 서류에 ‘출자약정서’가 있다고 해서 필요한 구비 서류를 전경련이 담당하라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기업이 돈을 내서 재단을 만든다는 것은 안 전 수석에게서 들어 자연스러운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그는 검찰이 “1차 회의 때 대상 기업에 대한 이야기가 안 나올 수 없는 것 아니냐. (참여) 대상 9개 그룹에 대한 언급이 있었던 것 아니냐”고 확인을 구하자 “저도 답답한 부분인데 그 언급을 듣지 못했다. 제 생각을 말하라고 하면 하겠는데 (그런 얘기를) 들었느냐고 물으면…”이라며 참여 기업을 언급하고 논의한 사실은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 전 행정관의 증언에 대해 안 전 수석 변호인은 “각 분배금을 확정하거나 청와대 측에서 출연기업의 분배금액에 의견을 제시한 건 아니지 않느냐”고 확인을 구했다. 이에 이 전 행정관은 “전경련에서 자기들 기준이 있다고 말한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안 전 수석 변호인은 “청와대에서 챙기라는 의미도 전경련의 재단 설립에 행정적인 도움을 주라는 것 아니냐”고 물었고, 이 전 행정관은 “그렇다”고 답했다.

이 전 행정관은 “전경련 관계자나 저희나 기업에 전화해서 그런 걸(돈 내라고) 한다고 생각하지 못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