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부회장 소환 시기 미정…위증 처벌은 뇌물 혐의 기소 때 판단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9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 중인 삼성그룹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9일 오전 최지성 삼성미래전략실장(부회장)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 박영수 특검으로 소환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그는 이들을 같은 날 소환했기 때문에 수사팀이 필요하다면 대질 조사를 할 가능성도 있다고 관측했다.
이 특검보는 앞서 사전 접촉 형식으로 특검 조사를 받은 대한승마협회장인 박상진 삼성전자 대외담당 사장도 수사 진행상 필요하면 소환 조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소환 조사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일정이 아직 잡혀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 특검보는 이 부회장이 청문회에서 위증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선 “(뇌물 의혹 등을) 기소할 단계에 결정하면 되므로 이재용 부회장의 소환 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이 지난달 9일 청문회에서 “박 대통령과 독대 때 삼성물산 합병이나 기부금 출연 얘기가 오가지 않았다”고 말한 것이 위증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이형희 SK브로드밴드 사장, 장선욱 롯데면세점 대표이사 등 삼성 외 다른 대기업 경영자에게도 출국금지 처분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이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재벌 총수 여러 명도 출국금지 상태다.
특검은 일단 삼성그룹에 대한 수사에 집중하고 있으나 삼성 수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다른 대기업으로 수사가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